삼국사기 잡지 34권 제 3
三國史記卷第三十四.
삼국사기 권 제 34
雜志第三.
地理一.
(+<新羅>一)?
허성도.
잡지 제 3.
지리 1.
○<新羅>疆界, 古傳記不同. <杜佑>『通典』云: "其先本<辰韓>種, 其國在<百濟>·<&高麗{高句麗}?>二國東南, 東濱大海." <劉煦{劉?}>?『唐書』云: "東南俱限大海." <宋祁>『新書』云: "東南<日本>, 西<百濟>, 北<&高麗{高句麗}?>, 南濱海." <賈耽>『四夷述』曰: "<辰韓>在<馬韓>東, 東抵海, 北與<濊>接." <新羅><崔致遠>曰: "<馬韓>則<&高麗{高句麗}?>, <卞韓>則<百濟>, <辰韓>則<新羅>也." 此諸說, 可謂近似焉. 若『新·舊唐書』皆云: "<卞韓>苗裔在<樂浪>之地." 『新唐書』又云: "東距長人, 長人者, 人長三丈, 鋸牙鉤爪, 搏人以食, <新羅>常屯弩士數千, 守之." 此皆傳聞懸說, 非實錄也. 按兩『漢志』: "<樂浪郡>距<洛陽>, 東北五千里." 注曰: "屬<幽州>, 故<朝鮮國>也." 則似與<?林>地分隔絶. 又相傳: 東海絶島上有大人國, 而人無見者, 豈有弩士守之者. 今按<新羅>始祖<赫居世>, <前漢><五鳳>元年甲子開國, 王都長三千七十五步, 廣三千一十八步, 三十五里, 六部. 國號曰<徐耶伐>, 或云<斯羅>, 或云<斯盧>, 或云<新羅>. <脫解王>九年, <始林>有?怪, 更名<?林>, 因以爲國號, <基臨王>十年, 復號<新羅>. 初<赫居世>二十一年, 築宮城, 號<金城>. <婆娑王>二十二年, 於<金城>東南, 築城, 號<月城>, 或號<在城>, 周一千二十三步. <新月城>北有<滿月城>, 周一千八百三十八步. 又<新月城>東有<明活城>, 周一千九百六步. 又<新月城>南有<南山城>, 周二千八百四步. 始祖已來處<金城>, 至後世多處兩<月城>. 始與<高句麗>·<百濟>, 地錯犬牙, 或相和親, 或相寇?. 後與(-大)?<唐>侵滅二邦, 平其土地, 遂置九州. 本國界內, 置三州: 王城東北, 當<唐恩浦>路曰<尙州>, 王城南曰<良州>, 西曰<康州>. 於故<百濟>國界, 置三州: <百濟>故城北<熊津>口曰<熊州>, 次西南曰<全州>, 次南曰<武州>. 於故<高句麗>南界, 置三州: 從西第一曰<漢州>, 次東曰<朔州>, 又次東曰<溟州>. 九州所管郡縣, 無慮四百五十.[方言所謂鄕·部·曲等, 雜所不復具錄.] <新羅>地理之廣?, 斯爲極矣, 及其衰也, 政荒民散, 疆土日蹙, 末王<金傳>, 以國歸我<太祖>, 以其國爲<慶州>.
허성도.李丙燾.허성도.허성도.趙炳舜. 『三國史節要』.
신라의 국토 경계에 대하여는 옛날 기록들의 내용이 동일하지 않다. 두우의 [통전]에는 "그 선조는 원래 진한의 종족인데, 그 나라가 백제, 고구려 두 나라의 동남쪽에 있으며 동쪽은 큰 바다에 닿았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유구의 [당서]에는 "신라의 동남쪽이 모두 큰 바다에 닿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송기의 [신서]에는 "동남쪽은 일본, 서쪽은 백제, 북쪽은 고구려, 남쪽은 바다에 닿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가 탐의 [사이술]에는 "진한은 마한 동쪽에 있는데, 동쪽은 바다에 닿고, 북쪽은 예와 인접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라의 최 치원은 "마한은 고구려, 변한은 백제, 진한은 신라이다"라고 하였으니, 이와 같은 여러 설이 모두 유사하다고 할 만하다. [신구당서]에서는 모두 "변한의 후예들이 낙랑 지방에 있었다"고 하였으며, [신당서]에는 또한 "동쪽으로 장인과 대치하고 있었는데, 장인이라는 것은 키가 세 길이며, 톱날 이빨과 갈구리 손톱으로 사람을 잡아 먹으므로 신라에서는 항상 활쏘는 군사 수천명을 주둔시켜 수비하였다"라고 하였으나, 이는 모두 전해지는 소문이지 실제적인 기록은 아니다. 두 [한지]에 의하면 "낙랑군은 낙양 동북쪽으로 5천리에 있다"라고 하였고, 이 부분의 주에는 "유주에 속하였으니, 옛날 조선국이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낙랑군은 계림과는 많이 떨어져 있었던 것 같다. 또한 전래되는 말로는 동해의 외딴 섬에 대인국이 있다고 하지만 이를 본 사람이 없으니, 어찌 활쏘는 군사를 두어 수비하게 하는 일이 있겠는가?
이제 상고하건대 신라 시조 혁거세는 전한 오봉 원년 갑자에 나라를 세웠는데, 왕도는 길이가 3천 75보, 넓이는 3천 18보이며, 35리 6부로 되어 있었다. 국호는 서야벌이라 하였는데 혹은 사라 혹은 사로 혹은 신라라고 하였다. 탈해왕 9년에 시림에서 닭소리가 들리는 괴이한 일이 있어 계림으로 바꾸어 불렀다. 이로 인하여 이것으로 국호를 삼았다가 기림왕 10년에 다시 신라라고 하였다. 처음 혁거세 21년에 궁성을 쌓아 이름을 금성이라 하였으나, 파사왕 22년에 금성 동남쪽에 성을 쌓아 월성 혹은 재성이라고 불렀는데, 그 둘레가 1천 23보였다. 신월성 북쪽에 만월성이 있는데 둘레가 1천 8백 38보였다. 또한 신월성 동쪽에 명활성이 있는데 둘레가 1천 9백 6보였다. 또한 신월성 남쪽에 남산성이 있는데 둘레가 2천 8백 4보였다. 시조 이래로 사람들은 금성에 살았고, 후세에 이르러서는 두 월성에서 많이 살았다. 처음에는 고구려 백제와는 국경이 들쑥날쑥 엇갈려 때로는 서로 화친하기도 하였고, 때로는 서로 침략을 하다가, 후일 당 나라와 함께 두 나라를 침공하여 멸망시키고, 그 영토를 평정한 다음 마침내 9주를 설치하였다.
본국 경계 내에 3주를 설치하였다. 왕성 동북쪽의 당은포 방면을 상주라 하고, 왕성 남쪽을 양주라 하고, 서쪽을 강주라 하였다. 이전의 백제 경내에 3주를 설치하였다. 백제의 옛성 북쪽 웅진 어구를 웅주라 하고, 그 다음 서남쪽을 전주, 그 다음 남쪽을 무주라고 하였다. 이전의 고구려 남쪽 지역에 3주를 설치하였다. 서쪽으로부터 첫째를 한주, 그 다음 동쪽을 삭주, 그 다음 동쪽을 명주라고 하였다. 9주에서 관할하던 군, 현은 무려 4백 50개 소였다.[방언으로 말하던 향, 부, 곡 등 잡다한 것은 여기에 모두 적지 않는다] 신라 지역의 넓이와 길이가 이 때 가장 컸다. 신라가 쇠약하게 되자 정사가 거칠고 백성들이 흩어지니 강토가 날로 줄었다. 마지막 임금 김부가 나라를 가지고 우리 태조에게 귀순하니 그 나라를 경주로 정하였다.
○<尙州>, <沾解王>時取<沙伐國>爲州, <法興王>十一{二}?年, <梁><普通>六年, 初置軍主, 爲<上州>. <眞興王>十八年, 州廢, <神文王>七年, <唐><垂拱>三年, 復置, 築城, 周一千一百九步, <景德王>十六年, 改名<尙州>, 今因之. 領縣三: <靑驍縣>, 本<昔里火縣{音里火縣}>?, <景德王>改名, 今<靑理縣>; <多仁縣>, 本<達已縣>[或云<多已>.], <景德王>改名, 今因之; <化昌縣>, 本<知乃彌知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趙炳舜. 『三國史節要』.李丙燾. [勝覽].
趙炳舜. [三國史節要].
상주는 첨해왕 때 사벌국을 빼앗아 주로 삼은 지방이다. 법흥왕 11년 양 나라 보통 6년에 처음으로 군주를 배치하여 상주라고 하다가 진흥왕 18년에 주를 폐지하였다. 신문왕 7년 당 나라 수공 3년에 다시 주를 설치하고 성을 쌓았다. 둘레가 1천 1백 9보였으며, 경덕왕 16년에 상주(尙州)로 개칭하였는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주에 속한 현은 셋이다. 청효현은 원래 석리화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청리현이다. 다인현은 원래 달이현[혹은 '다이'라고도 한다.]이었는데,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화창현은 원래 지내미지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醴泉郡>, 本<水酒郡>, <景德王>改名, 今<甫州>. 領縣四: <永安縣>, 本<下枝縣>, <景德王>改名, 今<?山縣>; <安仁縣>, 本<蘭山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嘉猷縣>, 本<近[一作巾.]品{岩}?縣>, <景德王>改名, 今<山陽縣>; <殷正縣>, 本<赤牙縣>, <景德王>改名, 今<殷?縣>.
趙炳舜. 『三國史節要』.
예천군은 원래 수주군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보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영안현은 원래 하지현이었는데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풍산현이다. 안인현은 원래 난산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가유현은 원래 근[건(巾)이라고도 한다]품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산양현이다. 은정현은 원래 적아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은풍현이다.
○<古昌郡>, 本<古?耶郡>, <景德王>改名, 今<安東府>. 領縣三: <直寧縣>, 本<一直縣>, <景德王>改名, 今復故; <日谿縣>, 本<熱兮縣>[或云<泥兮>.], <景德王>改名, 今未詳; <高丘縣>, 本<仇火縣>[或云<高近>.], <景德王>改名, 今合屬<義城府>.
고창군은 원래 고타야군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안동부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직녕현은 원래 일직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옛 이름을 다시 찾았다. 일계현은 원래 열혜현[혹은 이혜라고도 한다.]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고구현은 원래 구화현[혹은 '고근'이라고도 한다.]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의성부에 소속되어 있다.
○<聞韶郡>, 本<召文國>, <景德王>改名, 令{今}?<義城府>. 領縣四: <眞寶縣>, 本<柒巴火縣>, <景德王>改名, 今<甫城>; <比屋縣>, 本<阿火屋縣>[一云<幷屋>.], <景德王>改名, 今因之; <安賢縣>, 本<阿尸兮縣>[一云<阿乙兮>.], <景德王>改名, 今<安定縣>; <單密縣>, 本<武冬彌知>[一云<?冬彌知{曷冬彌知}>?.], <景德王>改名, 今因之.
趙炳舜. 『顯宗實錄字本』.李丙燾. [勝覽].
[북한본].
문소군은 원래 소문국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의성부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진보현은 원래 칠파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보성이다. 비옥현은 원래 아화옥현[병옥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였는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안현현은 원래 아시혜현[아을혜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안정현이다. 단밀현은 원래 무동미지현[갈동미지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嵩善郡>, 本<一善那{一善郡}>?, <眞平主{眞平王}>?三十六年, 爲<一善州>, 置軍主. <神文王>七年, 州廢, <景德王>改名, 今<善州>. 令縣三: <孝靈縣>, 本<芼兮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同兮縣>, 今未詳; <軍威縣>, 本<奴同覓縣>[一云<如豆覓{如臣覓}>?.], <景德王>改名, 今因之.
『북한본』.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숭선군은 원래 일선군으로서 진평왕 36년에 일선주라 하고 군주를 두었으나 신문왕 7년에 주가 폐지되었다가, 경덕왕이 일선군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선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효령현은 원래 모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동혜현은 지금 분명치 않다. 군위현은 원래 노동멱현[여두멱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開寧郡>, 古<甘文小國>也. <眞興王>十八年, <梁{陳}>?<永定>元年, 置軍主, 爲<靑州>. <眞平王>時, 州廢, <文武王>元年, 置<甘文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四: <禦侮縣>, 本<今勿縣>[一云<陰達>.], <景德王>改名, 今因之; <金山縣>, <景德王>改州·縣名, 及今?因之; <知禮縣>, 本<知品川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茂?縣>, 本<茂山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李丙燾. 年表.
개령군은 옛날 감문소국이었다. 진흥왕 18년, 진 나라 영정 원년에 군주를 두어 청주라 하였으나, 진평왕 때 폐지되었다가, 문무왕 원년에 감문군을 설치하였고, 경덕왕이 개령군으로 개칭하였는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어모현은 원래 금물현['음달'이라고도 한다.]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금산현은 경덕왕이 주와 현의 명칭을 개칭하였는데 지금까지 모두 그대로 부른다. 지례현은 원래 지품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무풍현은 원래 무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永同郡>, 本<吉同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陽山縣>, 本<助比川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黃澗縣>, 本<召羅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영동군은 원래 길동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양산현은 원래 조비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황간현은 원래 소라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管城郡>, 本<古尸山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利山縣>, 本<所利山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縣眞縣{安貞縣}>?, 本<阿冬號縣>, <景德王>改名, 今<安邑縣>.
李丙燾. [麗志]. [勝覽].
趙炳舜. [三國史節要].
관성군은 원래 고시산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이산현은 원래 소리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현진현은 원래 아동호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안읍현이다.
○<三年郡>, 本<三年山郡>, <景德王>改名, 今<保齡郡>. 領縣二: <淸川縣>, 本<薩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耆山縣>, 本<屈縣>, <景德王>改名, 今<靑山縣>.
삼년군은 원래 삼년산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보령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청천현은 원래 살매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기산현은 원래 굴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청산현이다.
○<古寧郡>, 本<古寧加耶國>, <新羅>取之, 爲<古冬攬郡>[一云<古陵縣>.], <景德王>改名, 今<咸寧郡>. 領縣三: <嘉善縣>, 本<加害縣>, <景德王>改名, 今<加恩縣>; <冠山縣>, 本<冠縣>[一云<冠文縣>.], <景德王>改名, 今<聞慶縣>; <虎溪縣>, 本<虎側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고령군은 원래 고령가야국이었는데, 신라가 이를 빼앗아 고동람군[고릉현이라고도 한다]이 되었고, 경덕왕이 이를 고령군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함령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가선현은 원래 가해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가은현이다. 관산현은 원래 관현[관문현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문경현이다. 호계현은 원래 호측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化寧郡>, 本<答達匕郡>[一云<沓達>.],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一: <道安縣>, 本<刀良縣>, <景德王>改名, 今<中牟縣>.
화령현은 원래 답달비군[답달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도안현은 원래 도량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중모현이다.
○<良州>, <文武王>五年, <麟德>二年, 割<上州>·<下州>地, 置<?良州>. <神文王>七年, 築城, 周一千二百六十步, <景德王>改名<良州>, 今<梁州>. 領縣一: <窟陽縣>, 本<居知火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양주는 문무왕 5년 인덕 2년에 상주와 하주의 땅을 분할하여 삽량주를 설치한 곳으로서 신문왕 7년에 성을 쌓았는데 둘레가 1천 2백 60보였다. 경덕왕이 이를 양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양주이다. 이 주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헌양현은 원래 거지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金海小京>, 古<金官國>[一云<伽落國>, 一云<伽耶>.], 自始祖<首露王>, 至十世<仇亥王{仇充王}>?, 以<梁><中大通>四年, <新羅><法興王>十九年, 率百姓來降, 以其地爲<金官郡>. <文武王>二十年, <永隆>元年, 爲<小京>, <景德王>改名<&金海京{金海小京}>?, 今<金州>.
李丙燾.趙炳舜. 『三國史節要』.
김해소경은 옛날 금관국['가락국' 또는 '가야'라고도 한다]이었다. 그 나라 시조 수로왕으로부터 10대왕인 구해왕이 양 나라 중대통 4년, 신라 법흥왕 19년에 백성들을 거느리고 항복해와서 그 지역이 금관국이 되었으며, 문무왕 20년, 영륭 원년에는 소경이라고 하였다. 경덕왕이 김해경으로 개칭하였는데 지금의 금주이다.
○<義安郡>, 本<屈自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三: <漆?縣{漆堤縣}>?, 本<漆吐縣>, <景德王>改名, 今<漆園縣>; <合浦縣>, 本<骨浦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熊神縣>, 本<熊只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趙炳舜. 『三國史節要』.
의안군은 원래 굴자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칠제현은 원래 칠토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칠원현이다. 합포현은 원래 골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웅신현은 원래 웅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密城郡>, 本<推火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五: <尙藥縣>, 本<西火縣>, <景德王>改名, 今<靈山縣>; <密津縣>, 本<推浦縣>[一云<竹山>.], <景德王>改名, 今未詳; <烏丘山絲{烏丘山縣}>?, 本<烏也山縣>[一云<仇道>, 一云<烏禮山>.], <景德王>改名, 今合屬<淸道郡>; <荊山縣>, 本<驚山縣>, <景德王>改名, 今合屬<淸道郡>; <蘇山縣>, 本<率已山縣>, <景德王>改名, 今合屬<淸道郡>.
趙炳舜. 『三國史節要』.
밀성군은 원래 추화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다섯이다. 상약현은 원래 서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영산현이다. 밀진현은 원래 추포현[죽산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오구산현은 원래 오야산현[구도 또는 오례산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청도군에 병합되었다. 형산현은 원래 경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청도군에 병합되었다. 소산현은 원래 솔이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청도군에 병합되었다.
○<火王郡>, 本<比自火郡>[一云<比斯伐>.], <眞興王>十六年置州, 名<下州>, 二十六年, 州廢, <景德王>改名, 今<昌寧郡>. 領縣一: <玄驍縣>, 本<推良火縣>[一云<三良火>.], <景德王>改名, 今<玄?縣>.
화왕군은 원래 비자화군[비사벌이라고도 한다.]으로서 진흥왕 16년에 주를 설치하여 하주라고 불렀다가, 26년에 주가 폐지되었다. 경덕왕이 이를 화왕군으로 개칭하였는데 지금의 창녕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현효현은 원래 추량화현['삼량화'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현풍현이다.
○<壽昌郡>[壽一作嘉.], 本<?火郡>, <景德王>改名, 今<壽城郡>. 領縣四: <大丘縣>, 本<達句火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八里縣>, 本<八居里縣>[一云<北眞長里>, 一云<仁里>.], <景德王>改名, 今<八居縣>; <河濱縣>, 本<多斯只縣>[一云<沓只>.], <景德王>改名, 今因之: <花?縣{花園縣}>?, 本<舌火縣{古火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북한본』.趙炳舜. 『三國史節要』.
수창군[수(壽)를 가(嘉)로 쓰기도 한다.]은 원래 위화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수성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대구현은 원래 달구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팔리현은 원래 팔거리현[북치장리 또는 인리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팔거현이다. 하빈현은 원래 다사지현[답지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화원현은 원래 설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獐山郡>, <祗味王{祗摩王}?>時, 伐取<押梁>[一作督.]小國, 置郡, <景德王>改名, 今<章山郡>. 領縣三: <解顔縣>, 本<雉省火縣>[一云<美里>.], <景德王>改名, 今因之; <餘糧縣>, 本<麻珍[一作彌.]良縣>, <景德王>改名, 今<仇史>部曲; <慈仁縣>, 本<奴斯火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李丙燾.
장산군은 지마왕 때 압량[압독이라고도 한다.]이란 작은 나라를 탈취하여 군을 설치하였는데 경덕왕이 이를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장산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해안현은 원래 치성화현[미리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여량현은 원래 마진량[마미량이라고도 한다.]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구사 부곡이다. 자인현은 원래 노사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臨?郡>, 本<切也火郡>, <景德王>改名, 今<永州>. 領縣五: <長鎭縣>, 今<竹長伊>部曲; <臨川縣>, <助貴王{助賁王}>?時, 伐得<骨大{骨火}>?小國, 置縣, <景德王>改名, 今合屬<永州>; <道同縣>, 本<刀冬火縣>, <景德王>改名, 今合屬<永州>; <新寧縣>, 本<史丁火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白縣>, 本<買熱次縣>, <景德王>改名, 今合屬<新寧縣>.
趙炳舜.趙炳舜. 『三國史節要』.
임고군은 원래 절야화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영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다섯이다. 장진현은 지금의 죽장이부곡이다. 임천현은 조분왕 때 골화라는 작은 나라를 빼앗아 현을 설치했던 곳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영주에 병합되었다. 도동현은 원래 도동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영주에 병합되었다. 신령현은 원래 사정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민백현은 원래 매열차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신령현에 병합되었다.
○<東萊郡>, 本<居柒山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東平縣>, 本<大甑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機張縣>, 本<甲火良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동래군은 원래 거칠산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동평현은 원래 대증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기장현은 원래 갑화량곡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東安郡>, 本<生西良郡>,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領縣一: <虞風縣>, 本<于火縣>, <景德王>改名, 今合屬<蔚州>.
동안군은 원래 생서량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우풍현은 원래 우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울주에 병합되었다.
○<臨關郡>, 本<毛火[一作<蚊化>]郡>, <聖德王>築城, 以遮<日本>賊路,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領縣二: <東津縣>, 本<栗浦縣>, <景德王>改名, 今合屬<蔚州>; <河曲[一作西]縣>, <婆娑王>時, 取<屈阿火村>, 置縣, <景德王>改名, 今<蔚州>.
임관군은 원래 모화[문화라고도 한다.]군으로서 성덕왕이 성을 쌓아 일본의 침략로를 막았다. 경덕왕이 임관군으로 개칭하였는데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동진현은 원래 율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울주에 병합되었다. 하곡[곡(曲)을 서(西)로도 쓴다.]현은 파사왕 때 굴아화촌을 빼앗아 현을 설치한 곳인데, 경덕왕이 임관군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울주이다.
○<義昌郡>, 本<退火郡>, <景德王>改名, 今<興海郡>. 領縣六: <安康縣>, 本<比火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立縣>, 本<只沓縣>, <景德王>改名, 今<長?縣>; <神光縣>, 本<東仍音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臨汀縣>, 本<斤烏支縣{斤烏友縣}>?, <景德王>改名, 今<迎日縣>; <杞溪縣>, 本<芼兮縣>[一云<化?>.], <景德王>改名, 今因之; <音汁火縣>, <婆娑王>時取<音汁伐國>, 置縣, 今合屬<安康縣>.
趙炳舜. 『三國史節要』. 『高麗史』에는 '烏良友縣으로 부르기도 한다'고 되어 있다.
의창군은 원래 퇴화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흥해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여섯이다. 안강현은 원래 비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기립현은 원래 지답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장기현이다. 신광현은 원래 동잉음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임정현은 원래 근오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영일현이다. 기계현은 원래 모혜현[화계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음집화현은 파사왕 때 음집벌국을 빼앗아 현을 만든 것인데 지금은 안강현에 병합되었다.
○<大城郡>, 本<仇刀城>境內, <率伊山城>·<茄山縣>[一云<驚山城>.]·<烏刀山城>等三城, 今合屬<淸道郡>. <約章縣>, 本<惡支縣>,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東畿停>, 本<毛只停>,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대성군은 원래 구도성 경내의 솔이산성, 가산현[경산성이라고도 한다.], 오도산성 등의 세 성이었는데 지금은 청도군에 병합되었다. 약장현은 원래 악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동기정은 원래 모지정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商城郡>, 本<西兄山郡>,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南畿停>, 本<道品兮停>,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中畿停>, 本<根乃停>,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西畿停>, 本<豆良彌知停>,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北畿停>, 本<雨谷停>,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莫耶停>, 本<官阿良支停>[一云<北阿良>.], <景德王>改名, 今合屬<慶州>.
상성군은 원래 서형산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남기정은 원래 도품혜정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중기정은 원래 근내정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서기정은 원래 두량미지정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북기정은 원래 우곡정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막야정은 원래 관아량지정[북아량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경주에 병합되었다.
○<康州>, <神文王>五年, <唐><垂拱>元年, 分<居?州>, 置<菁州>, <景德王>改名, 分{今}?<晉州>. 領縣二: <嘉壽縣{嘉樹縣}>?, 本<加主火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屈材縣{屈村縣}>?, 今未詳.
趙炳舜. 『顯宗實錄字本』.趙炳舜. 『高麗史』.趙炳舜. 『三國史節要』.
강주는 신문왕 5년, 당 나라 수공 원년에 거타주를 분할하여 청주를 설치하였다가 경덕왕이 강주로 개칭한 것인데 지금의 진주이다. 이 주에 속한 현은 둘이다. 가수현은 원래 가주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굴재현은 지금 분명치 않다.
○<南海郡>, <神文王>初置<轉也山郡>, 海中島也,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蘭浦縣>, 本<內浦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平山縣>, 本<平西山縣>[一云<西平>.], <景德王>改名, 今因之.
남해군은 신문왕이 처음 전야산군을 설치한 곳인데 바다에 있는 섬이다.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난포현은 원래 내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평산현은 원래 평서산현[서평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河東郡>, 本<韓多沙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三: <省良縣>, 今<金良>部曲; <嶽陽縣>, 本<小多沙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河邑縣>, 本<浦村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하동군은 원래 한다사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성량현은 지금의 금량 부곡이며, 악양현은 원래 소다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하읍현은 원래 포촌현으로서 경덕왕이 개칭하였으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固城郡>, 本<古自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三: <蚊火良縣>, 今未詳; <泗水縣>, 本<史勿縣>, <景德王>改名, 今<泗州>; <尙善縣>, 本<一善縣>, <景德王>改名, 今<永善縣>.
고성군은 원래 고자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문화량현은 지금 분명치 않다. 사수현은 원래 사물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사주이다. 상선현은 원래 일선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영선현이다.
○<咸安郡>, <法興王>以大兵, 滅<阿尸良國>[一云<阿郡加耶{阿那加耶/阿耶加耶}>?.], 以其地爲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玄武縣>, 本<召?縣>, <景德王>改名, 今<召?>部曲; <宜寧縣>, 本<獐含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趙炳舜. 『輿地勝覽』에는 '阿那加耶'로, 『三國遺事』에는 '阿耶加耶'로 되어 있다.
함안군은 법흥왕이 대군을 동원하여 아시량국[아나가야라고도 한다.]을 없애고, 그 지역을 군으로 만들었던 곳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현무현은 원래 소삼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소삼 부곡이다. 의령현은 원래 장함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巨濟郡>, <文武王>初置<裳郡>, 海中島也,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三; <鵝洲縣>, 本<巨老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溟珍縣>, 本<買珍伊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南垂縣>, 本<松邊縣>, <景德王>改名, 今復故.
거제군은 문무왕이 처음으로 설치한 상군을 설치했던 곳으로써 바다에 있는 섬이었는데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아주현은 원래 거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명진현은 원래 매진이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남수현은 원래 송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다시 옛 이름으로 회복되었다.
○<闕城郡>, 本<闕支郡>, <景德王>改名, 今<江城縣>. 領縣二: <丹邑縣>, 本<赤村縣>, <景德王>改名, 今<丹溪縣>; <山陰縣>, 本<知品川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궐성군은 원래 궐지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강성현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단읍현은 원래 적촌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단계현이다. 산음현은 원래 지품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天嶺郡>, 本<速含郡>, <景德王>改名, 今<咸陽郡>. 領縣二: <雲峰縣>, 本<母山縣>[或云<阿英城>, 或云<阿莫城>.], <景德王>改名, 今因之; <利安縣>, 本<馬利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천령군은 원래 속함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함양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운봉현은 원래 모산현[아영성 혹은 아막성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안현은 원래 마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居昌郡>, 本<居烈郡>[或云<居?>.],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餘善縣>, 本<南內縣>, <景德王>改名, 今<感陰縣>; <咸陰縣>, 本<(+大)?加召縣>, <景德王>改名, 今復故.
趙炳舜. 『三國史節要』.
거창군은 원래 거열군[거타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여선현은 원래 남내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감음현이다. 함음현은 원래 가소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옛 이름으로 회복되었다.
○<高靈郡>, 本<大加耶國>, 自始祖<伊珍阿?王>[一云<內珍朱智>.], 至<道設智王>, 凡十六世, 五百二十年, <眞興大王>侵滅之, 以其地爲<大加耶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冶爐縣>, 本<赤火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新復縣>, 本<加尸兮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고령군은 원래 대가야국으로서 그 나라 시조 이진아시왕[내진주지라고도 한다.]부터 도설지왕까지 16대 520년간 유지되었는데, 진흥대왕이 이를 침공하여 없애고 그 지역을 대가야군으로만들었으며, 경덕왕이 고령군으로 개칭하였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야로현은 원래 적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신복현은 원래 가시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江陽郡>, 本<大良[一作耶.]州郡>, <景德王>改名, 今<陜州>. 領縣三: <三岐縣>, 本<三支縣>[一云<麻杖>.], <景德王>改名, 今因之; <八谿縣>, 本<草八兮縣>, <景德王>改名, 今<草谿縣>; <宜桑縣>, 本<辛?縣>[一云<朱烏村>, 一云<泉州縣>.], <景德王>改名, 今<新繁縣>.
강양군은 원래 대량[야(耶)로도 쓴다.]주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합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삼기현은 원래 삼지현[마장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팔계현은 원래 초팔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초계현이다. 의상현은 원래 신이현[주오촌 또는 천주현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신번현이다.
○<星山郡>, 本<一利郡>[一云<里山郡>.], <景德王>改名, 今<加利縣>. 領縣四: <壽同縣>, 本<斯同火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谿子縣>, 本<大木縣>, <景德王>改名, 今<若木縣>; <新安縣>, 本<本彼縣>, <景德王>改名, 今<京山府>; <都山縣{都川縣}>?, 本<狄山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三國史記卷第三十四.
趙炳舜. 『三國史節要』.
성산군은 원래 일리군[이산군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가리현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수동현은 원래 사동화현으로서 경덕왕이 개칭하였으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계자현은 원래 대목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약목현이다. 신안현은 원래 본피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경산부이다. 도산현은 원래 적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삼국사기 권 제 34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