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삼국사기 35권 잡지 제 4

포맨#신기 2012. 2. 16. 16:41

三國史記卷第三十五.

삼국사기 권 제 35

雜志第四.

地理二.

(+<新羅>二)?

허성도.

잡지 제 4.

지리 2.

○<漢州>, 本<高句麗><漢山郡>, <新羅>取之, <景德王>改爲<漢州>, 今<廣州>. 領縣二: <黃武縣>, 本<高句麗><南川縣{南買縣}>?, <新羅>幷之, <眞興王>爲州, 置軍主, <景德王>改名, 今<利川縣>; <巨黍縣>, 本<高句麗><駒城縣>, <景德王>改名, 今<龍駒縣>.

趙炳舜. 『三國史節要』.

한주는 원래 고구려의 한산군이었던 것을 신라가 빼앗은 것으로서 경덕왕이 한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광주이다. 이 주에 속한 현은 둘이다. 황무현은 원래 고구려의 남천현으로서 신라가 병합하였고, 진흥왕이 주로 만들어 군주를 두었으며 경덕왕이 한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이천현이다. 거서현은 원래 고구려의 구성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용구현이다.

○<中原京>, 本<高句麗><國原城>, <新羅>平之, <眞興王>置小京, <文武王>時築城, 周二千五百九十二步, <景德王>改爲<中原京>, 今<忠州>.

중원경은 원래 고구려의 국원성으로서 신라가 이를 평정하여 진흥왕이 소경을 설치하였고, 문무왕 때 여기에 성을 쌓았는데, 둘레가 2천 5백 92보였다. 경덕왕이 중원경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충주이다.

○<槐壤郡>, 本<高句麗><仍斤內郡>, <景德王>改名, 今<槐州>.

괴양군은 원래 고구려의 잉근내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괴주이다.

○<暾[一作沂]川郡>, 本<高句麗><述川郡>, <景德王>改名, 今<川寧郡>. 領縣二: <黃驍縣>, 本<高句麗><骨乃斤縣>, <景德王>改名, 今<黃驪縣>; <濱陽縣>, 本<高句麗><楊根縣>, <景德王>改名, 今復故.

소[기(沂)로도 쓴다.]천군은 원래 고구려의 술천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천령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황효현은 원래 고구려의 골내근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황려현이다. 빈양현은 원래 고구려의 양근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옛 이름으로 회복되었다.

○<黑壤郡>[一云<黃壤郡>.], 本<高句麗><今勿奴郡>, <景德王>改名, 今<鎭州>. 領縣二: <都西縣>, 本<高句麗><道西縣>, <景德王>改名, 今<道安縣>; <陰城縣>, 本<高句麗><仍忽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흑양군[황양군이라고도 한다.]은 원래 고구려의 금물노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진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도서현은 원래 고구려의 도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도안현이다. 음성현은 원래 고구려의 잉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介山郡>, 本<高句麗><皆次山郡>, <景德王>改名, 今<竹州>. 領縣一: <陰竹縣>, 本<高句麗><奴音竹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개산군은 원래 고구려의 개차산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죽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음죽현은 원래 고구려의 노음죽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白城郡>, 本<高句麗><奈兮忽>, <景德王>改名, 今<安城郡>. 領縣二: <赤城縣>, 本<高句麗><沙伏忽>, <景德王>改名, 今<陽城縣>; <蛇山縣>, 本<&高句麗縣{高句麗蛇山縣}>?, <景德王>因之, 今<稷山縣>.

李丙燾. [勝覽].

백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나혜홀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였다. 지금의 안성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적성현은 원래 고구려의 사복홀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양성현이다. 사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현으로서 경덕왕도 이 이름을 따랐다. 지금의 직산현이다.

○<水城郡>, 本<高句麗><買忽郡>, <景德王>改名, 今<水州>.

수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매홀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수주이다.

○<唐恩郡>, 本<高句麗><唐城郡>, <景德王>改名, 今復故. 領縣二: <車城縣>, 本<高句麗><上[一作車.]忽縣>, <景德王>改名, 今<龍城縣>; <振威縣>, 本<高句麗><釜山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당은군은 원래 고구려의 당성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옛 이름으로 회복되었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거성현은 원래 고구려의 상[거(車)로도 쓴다.]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용성현이다. 진위현은 원래 고구려의 부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栗津郡>, 本<高句麗><栗木郡>, <景德王>改名, 今<菓州>. 領縣三: <穀壤縣{穀陽縣}>?, 本<高句麗><仍伐奴縣>, <景德王>改名, 今<黔州>; <孔巖縣>, 本<高句麗><濟次巴衣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邵城縣>, 本<高句麗><買召忽縣>, <景德王>改名, 今<仁州>[一云<慶原買召>, 一作<彌鄒>.]

趙炳舜. 『三國史節要』.

율진군은 원래 고구려의 율목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과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곡양현은 원래 고구려의 잉벌노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금주이다. 공암현은 원래 고구려의 제차파의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소성현은 원래 고구려의 매소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인주이다[경원매소 또는 미추라고도 한다.].

○<獐口郡>, 本<高句麗><獐項口縣>, <景德王>改名, 今<安山縣>.

장구군은 원래 고구려의 장항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안산현이다.

○<長堤郡>, 本<高句麗><主夫吐郡>, <景德王>改名, 今<樹州>. 領縣四: <戍城縣>, 本<高句麗><首?忽>, <景德王>改名, 今<守安縣>; <金浦縣>, 本<高句麗><黔浦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童城縣>, 本<高句麗><童子忽>[一云<?山縣{幢山縣}?.]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分津縣>, 本<高句麗><平唯押縣{平淮押縣}>?, <景德王>改名, 今<通津縣>.

『북한본』.李丙燾. [勝覽].

[북한본].

장제군은 원래 고구려의 주부토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수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수성현은 원래 고구려의 수이홀로서 경덕왕이 개칭하였다. 지금의 수안현이다. 김포현은 원래 고구려의 금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동성현은 원래 고구려의 동자홀[동산현이라고도 한다]현으로서 경덕왕이 개칭하였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분진현은 원래 고구려의 평유압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통진현이다.

○<漢陽郡>, 本<高句麗><北漢山郡>[一云<平壤>.], <眞興王>爲州, 置軍主, <景德王>改名, 今<楊州>舊墟. 領縣二: <荒壤縣>, 本<高句麗><骨衣奴縣>, <景德王>改名, 今<?壤縣>; <遇王縣>, 本<高句麗><皆伯縣>, <景德王>改名, 今<幸州>.

한양군은 원래 고구려의 북한산군[평양이라고도 한다]으로서 진흥왕이 주로 만들어 군주를 두었다. 경덕왕이 이를 한양군으로 개칭하였다. 지금 양주의 옛 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황양현은 원래 고구려의 골의노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풍양현이다. 우왕현은 원래 고구려의 개백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행주이다.

○<來蘇郡>, 本<高句麗><買省縣>, <景德王>改名, 今<見州>. 領縣二: <重城縣>, 本<高句麗><七重縣>, <景德王>改名, 今<積城縣>; <波平縣>, 本<高句麗><波害平吏縣{坡害平吏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趙炳舜. 『三國史節要』.

내소군은 원래 고구려의 매성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견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중성현은 원래 고구려의 칠중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적성현이다. 파평현은 원래 고구려의 파해평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交河郡>, 本<高句麗><泉井口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峯城縣>, 本<高句麗><述?忽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高烽縣{高峰縣}>?, 本<高句麗><達乙省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趙炳舜. 『三國史節要』.

교하군은 원래 고구려의 천정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봉성현은 원래 고구려의 술이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고봉현은 원래 고구려의 달을성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堅城郡>, 本<高句麗><馬忽郡>, <景德王>改名, 今<抱州>. 領縣二: <沙川縣>, 本<高句麗><內乙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洞陰縣>, 本<高句麗><梁骨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견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마홀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포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사천현은 원래 고구려의 내을매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동음현은 원래 고구려의 양골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鐵城郡>, 本<高句麗><鐵圓郡>, <景德王>改名, 今<東州>. 領縣二: <?梁縣>, 本<高句麗><僧梁縣>, <景德王>改名, 今<僧嶺縣>; <功成縣>, 本<高句麗><功木達縣>, <景德王>改名, 今<獐州>.

철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철원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동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동량현은 원래 고구려의 승량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승령현이다. 공성현은 원래 고구려의 공목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장주이다.

○<富平郡>, 本<高句麗><夫如郡>, <景德王>改名, 今<金化縣>. 領縣一: <廣平縣>, 本<高句麗><斧壤縣>, <景德王>改名, 今<平康縣>.

부평군은 원래 고구려의 부여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금화현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광평현은 원래 고구려의 부양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평강현이다.

○<兎山郡>, 本<高句麗><烏斯含達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三: <安峽縣>, 本<高句麗><阿珍押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朔邑縣>, 本<高句麗><所邑豆縣>, <景德王>改名, 今<朔寧縣>; <伊川縣>, 本<高句麗><伊珍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토산군은 원래 고구려의 오사함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안협현은 원래 고구려의 아진압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삭읍현은 원래 고구려의 소읍두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삭녕현이다. 이천현은 원래 고구려의 이진매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牛峯郡>, 本<高句麗><牛岑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三: <臨江縣>, 本<高句麗><獐項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長湍縣>, 本<高句麗><長淺城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臨端縣>, 本<高句麗><麻田淺縣>, <景德王>改名, 今<麻田縣>.

우봉군은 원래 고구려의 우잠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임강현은 원래 고구려의 장항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장단현은 원래 고구려의 장천성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임단현은 원래 고구려의 마전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마전현이다.

○<松岳郡>, 本<高句麗><扶蘇岬>, (+新羅改<松嶽郡>)? <孝昭王{孝照王}>?三年築城, <景德王>因之. 我<太祖>開國爲王畿. 領縣二: <如?縣>, 本<高句麗><若豆恥縣>?, <景德王>改名, 今<松林縣>. 第四葉 <光宗>, 創置<佛曰寺{佛日寺}>?於其地, 移其縣於東北; <江陰縣>, 本<高句麗><屈押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李丙燾. [高麗史, 地理志].趙炳舜. 新羅皇福寺石塔金銅舍利函銘.李丙燾. 이를 <若只頭恥縣>이라고도 한다. 뒷 부분을 참고할 것.趙炳舜. 『三國史節要』.

송악군은 원래 고구려의 부소갑으로서 효소왕 3년에 성을 쌓았고, 경덕왕이 송악군으로 개칭하였다. 우리 태조가 나라를 창건하자 왕도의 기내 지역이 되었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여비현은 원래 고구려의 약두치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송림현이다. 제 4대 광종이 그 곳에 불일사라는 절을 창건하고 그 현의 소재지를 동북쪽으로 옮겼다. 강음현은 원래 고구려의 굴압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開城郡>, 本<高句麗><冬比忽>, <景德王>改名, 今<開城府>. 領縣二: <德水縣>, 本<高句麗><德勿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第十一葉 <文宗>代, 創置<興王寺>於其地, 移其縣於南; <臨津縣>, 本<高句麗><津臨城>, <景德王>改名, 今因之.

개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동비홀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였다. 지금의 개성부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덕수현은 원래 고구려의 덕물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제 11대 문종시대에 그 곳에 흥왕사라는 절을 세우고, 현의 소재지를 남쪽으로 옮겼다. 임진현은 원래 고구려의 진림성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海口郡>, 本<高句麗><穴口郡>, 在海中, <景德王>改名, 今<江華縣>. 領縣三: <泫陰縣{?陰縣?/江陰縣?}>, 本<高句麗><冬音奈縣>, <景德王>改名, 在<穴口島>內, 今<河陰縣>; <喬桐縣{?桐縣}>?, 本<高句麗><高木根縣>, 海島也, <景德王>改名, 今因之; <守鎭縣>, 本<高句麗><首知縣>, <景德王>改名, 今<鎭江縣>.

趙炳舜. 『三國史節要』.『북한본』.趙炳舜. 『三國史節要』.

해구군은 원래 고구려의 혈구군으로서 바다에 있었는데 경덕왕이 개칭하였다. 지금의 강화현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강음현은 원래 고구려의 동음나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혈구도에 있었으며 지금의 하음현이다. 교동현은 원래 고구려의 고목근현으로서 바다에 있는 섬인데 경덕왕이 개칭하였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수진현은 원래 고구려의 수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진강현이다.

╀<永?郡>, 本<高句麗><大谷郡>, <景德王>改名, 今<平州>. 領縣二: <檀溪縣>, 本<高句麗><水谷城縣{氷谷城縣}>?, <景德王>改名, 今<俠溪縣>; <鎭湍縣>, 本<高句麗><十谷城縣>, <景德王>改名, 今<谷州>.

趙炳舜. 『三國史節要』.

영풍군은 원래 고구려의 대곡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평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단계현은 원래 고구려의 수곡성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협계현이다. 진단현은 원래 고구려의 십곡성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곡주이다.

╀<海?郡>, 本<高句麗><冬?[一作音.]忽郡>, <景德王>改名, 今<鹽州>. 領縣一: <?澤縣>, 本<高句麗><刀臘縣>, <景德王>改名, 今<白州>.

해고군은 원래 고구려의 동삼[음(音)으로도 쓴다.]홀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염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구택현 하나이다. 구택현은 원래 고구려의 도랍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백주이다.

○<瀑池郡>, 本<高句麗><內米忽郡>, <景德王>改名, 今<海州>.

폭지군은 원래 고구려의 내미홀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해주이다.

○<重盤郡>, 本<高句麗><息城郡>, <景德王>改名, 今<安州>.

중반군은 원래 고구려의 식성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안주이다.

○<栖椎郡>, 本<高句麗><?椎郡>, <景德王>改名, 今<鳳州>.

서암군은 원래 고구려의 휴암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봉주이다.

○<五關郡{五開郡}>?, 本<高句麗><五谷郡>, <景德王>改名, 今<洞州>. 領縣一: <獐塞縣>, 本<高句麗>縣, <景德王>因之, 今<遂安郡>.

趙炳舜. 『三國史節要』.

오관군은 원래 고구려의 오곡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동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장색현 하나이다. 장색현은 원래 고구려의 현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를 따랐다. 지금의 수안군이다.

○<取城郡>, 本<高句麗><冬忽>, <憲德王>改名, 今<黃州>. 領縣三: <土山縣>, 本<高句麗><息達>, <憲德王>改名, 今因之; <唐嶽縣>, 本<高句麗><加火押>, <憲德王>置縣改名, 今<中和縣>; <松峴縣>, 本<高句麗><夫斯波衣縣>, <憲德王>改名, 今屬<中和縣>.

취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동홀로서 헌덕왕이 개칭하였다. 지금의 황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토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식달로서 헌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당악현은 원래 고구려의 가화압으로서 헌덕왕이 현을 설치하고 개칭하였다. 지금의 중화현이다. 송현현은 원래 고구려의 부사파의현으로서 헌덕왕이 개칭하였다. 지금은 중화현에 속한다.

○<朔州>, <賈耽>『古今郡國志』云: "<句麗>之東南, <濊{穢}>?之西, 古<貊>地. 盖今<新羅><北朔州>." <善德王>六年, <唐><貞觀>十一年, 爲<中首州{牛首州}>?, 置軍主,[一云: <文武王>十三年, <唐><咸亨>四年, 置<首若州>.] <景德王>改爲<朔州>, 今<春州>. 領縣三: <綠驍縣>, 本<高句麗><伐力川縣>, <景德王>改名, 今<洪川縣>; <潢川縣>, 本<高句麗><橫川縣>, <景德王>改名, 今復故; <?平縣{?平縣}?>, 本<高句麗><?峴縣{?平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은 『三國史節要』를 근거로 하여 '?平縣'으로 보며, 今西龍은 '砥平縣'으로 본다.趙炳舜은 『三國史節要』를 근거로 하여 '?平縣'으로 보며, 今西龍은 '砥平縣'으로 본다.

삭주는, 가 탐의 [고금군국지]에 "고구려의 동남쪽, 예의 서쪽, 옛날 맥의 땅으로서, 대략 지금 신라 북쪽 삭주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선덕왕 6년, 당 정관 11년에 우수주로 만들어 군주를 두었고[문무왕 13년, 당 함형 4년에 수약주를 설치하였다고도 한다.], 경덕왕이 삭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춘주이다. 이 주에 속한 현은 셋이다. 녹효현은 원래 고구려의 벌력천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홍천현이다. 황천현은 원래 고구려의 횡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옛 이름으로 회복되었다. 지평현은 원래 고구려의 지현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北原京>, 本<高句麗><平原郡>, <文武王>置<北原>小京, <神文王>五年築城, 周一千三十一步, <景德王>因之, 今<原州>.

북원경은 원래 고구려의 평원군으로서 문무왕이 북원소경을 설치하였고, 신문왕 5년에 성을 쌓았는데, 둘레가 1천 31보였다. 경덕왕이 성의 이름을 그대로 지명으로 불렀다. 지금의 원주이다.

○<奈?郡>, 本<高句麗><奈吐郡>, <景德王>改名, 今<湜州{堤州}>?. 領縣二: <淸風縣>, 本<高句麗><沙熱伊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赤山縣>, 本<高句麗>縣, <景德王>因之, 今<丹山縣>.

李丙燾. [麗志]. [勝覽].

[북한본].

나제군은 원래 고구려의 나토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제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청풍현은 원래 고구려의 사열이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적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현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를 따랐다. 지금의 단산현이다.

○<奈靈郡>, 本<&百濟{高句麗}>?<奈已郡>, <婆娑王>取之, <景德王>改名, 今<剛州>. 領縣二: <善谷縣>, 本<高句麗><買谷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玉馬縣{王馬縣}>?, 本<高句麗><古斯馬縣>, <景德王>改名, 今<奉化縣>.

趙炳舜. 『輿地勝覽』.趙炳舜. 『三國史節要』.

나령군은 원래 백제의 나이군으로서 파사왕이 이를 빼앗았고,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강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선곡현은 원래 고구려의 매곡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옥마현은 원래 고구려의 고사마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봉화현이다.

○<?山郡>, 本<高句麗><及伐山郡>, <景德王>改名, 今<興州>. 領縣一: <隣?縣>, 本<高句麗><伊伐支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급산군은 원래 고구려의 급벌산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흥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인풍현 하나이다. 인풍현은 원래 고구려의 이벌지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嘉平郡{加平郡}>?, 本<高句麗><斤平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一: <浚水縣>, 本<高句麗><深川縣>, <景德王>改名, 今<朝宗縣>.

趙炳舜. 『三國史節要』.

가평군은 원래 고구려의 근평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준수현 하나이다. 준수현은 원래 고구려의 심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조종현이다.

○<楊麓郡>, 本<高句麗><楊口郡>, <景德王>改名, 今<陽溝縣>. 領縣三: <?蹄縣>, 本<高句麗><猪足縣>, <景德王>改名, 今<麟蹄縣>; <馳道縣>, 本<高句麗><玉岐縣>, <景德王>改名, 今<瑞禾縣>; <三嶺縣>, 本<高句麗><三峴縣>, <景德王>改名, 今<方山縣>.

양록군은 원래 고구려의 양구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양구현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희제현은 원래 고구려의 저족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인제현이다. 치도현은 원래 고구려의 옥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서화현이다. 삼령현은 원래 고구려의 삼현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방산현이다.

○<狼川郡>, 本<高句麗><?川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낭천군은 원래 고구려의 성천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大楊郡>, 本<高句麗><大楊菅郡>, <景德王>改名, 今<長楊郡>. 領縣二: <藪川縣>, 本<高句麗><藪?川縣>, <景德王>改名, 今<和川縣>; <文登縣>, 本<高句麗><文峴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대양군은 원래 고구려의 대양관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장양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수천현은 원래 고구려의 수성천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화천현이다. 문등현은 원래 고구려의 문현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益城郡>, 本<高句麗><母城郡>, <景德王>改名, 今<金城郡>.

익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모성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금성군이다.

○<岐城郡>, 本<高句麗><冬斯忽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一: <通溝縣{通口縣}>?, 本<高句麗><木入縣{水入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기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동사홀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통구현 하나이다. 통구현은 원래 고구려의 수입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連城郡>, 本<高句麗><各[一作客.]連城郡>, <景德王>改名, 今<交州>. 領縣三: <丹松縣>, 本<高句麗><赤本鎭{赤木鎭}>?, <景德王>改名, 今<嵐谷縣>; <?雲縣>, 本<高句麗><管述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嶺縣>, 本<高句麗><猪守峴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趙炳舜. 『三國史節要』.

연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각[객(客)으로서도 쓴다.]련성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교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단송현은 원래 고구려의 적목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남곡현이다. 일운현은 원래 고구려의 관술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희령현은 원래 고구려의 저수현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朔庭郡>, 本<高句麗><比列忽郡>, <眞興王>十七年, <梁><太平>元年, 爲<比列州>, 置軍主, <孝昭王{孝照王}>?時築城, 周一千一百八十步, <景德王>改名, 今<登州>. 領縣五: <瑞谷縣>, 本<高句麗><?谷縣{原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蘭山縣>, 本<高句麗><昔達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霜陰縣>, 本<高句麗><薩寒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菁山縣>, 本<高句麗><加支達縣>, <景德王>改名, 今<汶山縣>; <翊谿縣{翊溪縣}>?, 本<高句麗><翼谷縣{翊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趙炳舜. 新羅皇福寺石塔金銅舍利函銘.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삭정군은 원래 고구려의 비열홀군으로서 진흥왕 17년, 양 태평 원년에 비열주로 만들어 군주를 두었고, 효소왕 때 성을 쌓았는데, 둘레가 1천 1백 80보였다. 경덕왕이 이를 삭정군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등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다섯이다. 서곡현은 원래 고구려의 경곡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난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석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상음현은 원래 고구려의 살한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청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가지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문산현이다. 익계현은 원래 고구려의 익곡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井泉郡>, 本<高句麗><泉井郡>, <文武王>二十一年取之, <景德王>改名, 築<炭項>關門, 今<湧州>. 領縣三: <?山縣{蒜山縣}>?, 本<高句麗><買尸達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松山縣>, 本<高句麗><夫斯達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幽居縣>, 本<高句麗><東墟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趙炳舜. 『三國史節要』.

정천군은 원래 고구려의 천정군으로서 문무왕 21년에 이를 빼앗았으며 경덕왕이 개칭하고 탄항 관문을 쌓았다. 지금의 용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산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매시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송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부사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유거현은 원래 고구려의 동허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溟州>, 本<高句麗><河西良>[一作<何瑟羅>.], 後屬<新羅>. <賈耽>『古今郡國志』云: "今<新羅>北界<溟州>, 蓋<濊>之古國." 前史以<扶餘>爲<濊>地, 蓋誤. <善德王>時爲小京, 置仕臣, <太宗王>五年, <唐><顯慶>三年, 以<何瑟羅>地連<靺鞨>, 罷京爲州, 置軍主以鎭之, <景德王>十六年改爲<溟州>, 今因之. 領縣四: <旌善縣>, 本<高句麗><仍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一作棟]?縣>, 本<高句麗><束吐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支山縣>, 本<高句麗>縣, <景德王>因之, 今<連谷縣>; <洞山縣>, 本<高句麗><穴山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명주는 원래 고구려의 하서량[하슬라라고도 한다.]으로서 뒷날 신라에 속하였다. 가 탐의 [고금군국지]에는 "지금 신라의 북부 경계에 있는 명주는 대부분이 예의 옛 나라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전의 역사서에는 부여를 예의 땅이라고 하였는데 잘못인 듯하다. 선덕왕 때 소경을 만들고 관리를 배치하였으나, 태종왕 5년, 당 현경 3년에 하슬라 지역이 말갈과 연결되어 있다 하여 소경을 폐지하여 주를 만들고 군주를 두어 이를 지키게 하였다가 경덕왕 16년에 명주로 개칭하였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정선현은 원래 고구려의 잉매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속[동(棟)이라고도 한다.]제현은 원래 고구려의 속토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지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현이었다. 경덕왕이 이 이름을 따랐는데 지금의 연곡현이다. 동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혈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曲城郡>, 本<高句麗><屈火郡>, <景德王>改名, 今<臨河郡>. 領縣一: <緣[一作?{椽}?]武縣>, 本<高句麗><伊火兮縣>, <景德王>改名, 今<安德縣>.

『북한본』.

곡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굴화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임하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연무현 하나이다. 연[연(椽)이라고도 한다.]무현은 원래 고구려의 이화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안덕현이다.

○<野城郡>, 本<高句麗><也尸忽郡>, <景德王>改名, 今<盈德郡>. 領縣二; <眞安縣>, 本<高句麗><助欖縣>, <景德王>改名, 今<甫城府>; <積善縣>, 本<高句麗><靑已縣>, <景德王>改名, 今<靑鳧縣>.

야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야시홀군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영덕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진안현은 원래 고구려의 조람현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보성부이다. 적선현은 원래 고구려의 청이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청부현이다.

○<有隣郡>, 本<高句麗><于尸郡>, <景德王>改名, 今<禮州>. 領縣一: <海阿縣>, 本<高句麗><阿兮縣>, <景德王>改名, 今<淸河縣>.

유린군은 원래 고구려의 우시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예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해아현은 원래 고구려의 아혜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청하현이다.

○<蔚珍郡>, 本<高句麗><于珍也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一: <海曲[一作西.]縣>, 本<高句麗><波且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울진군은 원래 고구려의 우진야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해곡현 하나이다. 해곡[해서라고도 한다.]현은 원래 고구려의 파차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奈城郡{柰城郡}>?, 本<高句麗><奈生郡>, <景德王>改名, 今<寧越郡>. 領縣三: <子春縣>, 本<高句麗><乙阿旦縣>, <景德王>?{改}?名, 今<永春縣>; <白烏縣>, 本<高句麗><郁烏縣>, <景德王>?{改}?名, 今<平昌縣>; <酒泉縣>, 本<高句麗><酒淵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趙炳舜. 『三國史節要』.『북한본』.『북한본』.『북한본』.

나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나생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영월군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자춘현은 원래 고구려의 을아단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영춘현이다. 백오현은 원래 고구려의 욱오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평창현이다. 주천현은 원래 고구려의 주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三陟郡>, 本<悉直國>, <婆娑王>世來降. <智證王>六年, <梁><天監>四年, 爲州, 以<異斯夫>爲軍主,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四: <竹領縣>, 本<高句麗><竹峴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滿卿[一作鄕.]縣>, 本<高句麗><滿若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羽谿縣>, 本<高句麗><羽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海利縣>, 本<高句麗><波利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삼척군은 원래 실직국으로서 파사왕 때 항복하여 왔는데 지증왕 6년, 양 천감 4년에 주로 만들고 이사부를 군주로 삼았는데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죽령현은 원래 고구려의 죽현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만경[만향이라고도 한다.]현은 원래 고구려의 만약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우계현은 원래 고구려의 우곡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해리현은 원래 고구려의 파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守城郡>, 本<高句麗><?城郡>, <景德王>改名, 今<杆城縣>. 領縣二: <童山縣>, 本<高句麗><僧山縣>, <景德王>改名, 今<烈山縣>; <翼嶺縣>, 本<高句麗><翼峴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수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수성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간성현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동산현은 원래 고구려의 승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열산현이다. 익령현은 원래 고구려의 익현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高城郡>, 本<高句麗><達忽>, <眞興王>二十九年, 爲州, 置軍主,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縣>, 本<高句麗><猪?穴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偏?縣>, 本<高句麗><平珍峴縣>, <景德王>改名, 今<雲巖縣>.

고성군은 원래 고구려의 달홀로서 진흥왕 29년에 주로 만들어 군주를 두었는데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환가현은 원래 고구려의 저수혈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편험현은 원래 고구려의 평진현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운암현이다.

○<金壤郡>, 本<高句麗><休壤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五: <習谿縣>, 本<高句麗><習比谷縣>, <景德王>改名, 今<絡谷縣>; <?上縣>, 本<高句麗><吐上縣>, <景德王>改名, 今<碧山縣>; <臨道縣>, 本<高句麗><道臨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派川縣>, 本<高句麗><改淵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鶴浦縣>, 本<高句麗><鵠浦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三國史記卷第三十五.

금양군은 원래 고구려의 휴양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다섯이다. 습계현은 원래 고구려의 습비곡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흡곡현이다. 제상현은 원래 고구려의 토상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벽산현이다. 임도현은 원래 고구려의 도림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파천현은 원래 고구려의 개연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학포현은 원래 고구려의 곡포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삼국사기 권 제 35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