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서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상고사 제 4편 열국의 쟁웅 시대 제 4 편 열국(列國)의 쟁웅(爭雄)시대 제 1 장 열국의총론 1.列國의 연대의 正誤 삼조선이 무너지고 신수두님 ·신한·말한·불구래 등의 참람 ( 僭濫 ) 한 칭호를 일컫는 자가 각지에서 들고 일어나 , 열국 분립의 판국을 만들었음은 이미 앞에서 말하였거니와 , 열국사 ( 列國史 ) 를 말하려면 전사 ( 前史 ) 에서 열국의 연대를 줄여버렸으므로 이제 그 연대부터 말 해야겠다 . 어찌하여 열국의 연대가 줄어졌다 하는가 ? 먼저 고구려 연대가 줄어진 것부터 말하리라 . 고구려가 신라 시조 혁거세 ( 赫居世 ) 21 년 , 기원전 37 년에 건국하여 신라 문무왕 ( 文武王 ) 8 년 ( 기원 668 년 ) 에 망하니 나라를 누리기를 도합 705 년이라고 일반 역사가들이 적어왔다 . 그러나 고구려가 망할 때에.. 더보기 조선상고사 제 3편 삼조선 분립시대 제 3 편 삼조선(三朝鮮)분립시대 제 1 장 삼조선의 총론 1. 삼조선 명칭의 유래 종래의 각 역사책에 삼조선 분립의 사실이 빠졌을 뿐 아니라 , 삼조 선이라는 명사까지도 단군 ·기자·위만의 세 왕조라고 억지 해석을 하였다 . 삼조선은 신·불 ·만 삼한의 분립을 말한 것이니 , `신한'은 대왕 ( 大王 ) 이요 , 불·말 두 한은 부왕 ( 副王 ) 이다 . 삼한이 삼경 ( 三京 ) 에 나뉘어 있어 조선을 통치하였음은 이미 제 1 편에서 말하였거니와 , 삼조선은 곧 삼한이 분립한 뒤에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신한이 통치하는 곳은 신조선이라 하고 , 말한이 통치하는 곳은 말조선이라 하고 , 불한이 통치하는 곳은 불조선이라 하였다 . 신·말·불 삼한은 이두문으로 진한 ( 辰韓 ) ·변한 ( 弁韓 ) 이라 기록된.. 더보기 조선상고사 2편 수두 시대 제 2 편 시대 제 1 장 고대 총론 1. 조선 민족의 구별 고대 아시아 동부의 종족이 1,우랄 어족 2, 지나 어족의 두 갈래로 나누어졌는데 , 한족 ( 漢族 ) ·묘족 ( 苗族 ) ·요족 ( 요族 ) 등은 후자에 속 한 것이고 , 조선족 ·흉노족 등은 전자에 속한 것이다 . 조선족이 분화 ( 分化 ) 하여 조선 ·선비 ·여진 ·몽고 ·퉁구스 등 종족이 되고 , 흉노족 이 이동하고 분산하여 돌궐 ( 突厥 : 지금의 新疆族 ) ·흉아리 ( 匈牙利 : 헝가리 ) ·토이기 ( 土耳其 : 터키 ) ·분란 ( 芬蘭 : 핀란드 ) 족이 되었다 . 지금 몽고 ·만주 ·토이기 ·조선의 네 종족 사이에 왕왕 같은 말과 물건 이름이 있음은 몽고 ( 大元 ) 제국 시대에 피차의 관계가 많아서 받은 영향도 있으.. 더보기 조선상고사 1편 총론 제 1 편 총론 제1장. 역사의 정의(正義)와 조선사의 범위 역사란 무엇인가? 인류 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으로 발전하고 공간으로 확대되는 심적(心的)활동 상태의 기록이니, 세계사라 하면 세계 인류가 그렇게 되어온 상태의 기록이요, 조선사라 하면 조선 민족이 이렇게 되어온 상태의 기록이다. 무엇을 “아” 라 하며 무엇을 “비아”라 하는가? 깊이 팔 것 없이 얕이 말하자면, 무릇 주관적 위치에 서 있는 자를 아라 하고, 그밖의 것은 비아라 한다. 이를테면 조선인은 조선을 아라 하고 영(英).로(露:러시아).법(法:프랑스).미(美) 등을 비아라고 하지마는 영.로.법.미 등은 저마다 제 나라를 아라 하고 조선을 비아라고 하며,무산(無産)계급은 무산 계급을 아라 하고 지주나 자본가를 .. 더보기 조선상고사 조선 상고사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著 단재 신 채 호(丹齋 申采浩, 1880-1936) 숙명여대 한국사학과 교수 이만열 최근 백여년의 역사를 돌이켜 볼때, 우리나라에는 참으로 위대한 많은 선조들이 있음을 발견한다. 그런 분들 중에는 나라가 어려운 지경에 빠졌을 때 자신의 한 몸을 던져 나라와 민족을 구하려 한 독립운동가도 있고, 사상가로, 학자로 혹은 예술가로 활동한 분들도 있다. 그런 분들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역사를 연구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한편 그 자신이 독립운동에 직접 뛰어들어 조국의 광복을 위해 희생된 분이 있으니 신채호 선생이 바로 그분이다. 신채호는 근대 우리나라가 낳은 위대한 선각자의 한 분이다. 그는 한말 민족적으로 대단히 불안한 시기에 태어나 나라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교육 .. 더보기 일본역대왕계보 일본역대왕 연도표 HOME 明治이전 現 在 재위기간 비 고 대 왕 명 대 왕 명 1 神武(신무) 1 神武 前659.1.1 前584.3.11 일본서기(日本書紀) 저자가 무엇을 근거로 하여 신무왕을 일본국의 건국시조로 조작하였는지 살펴본다. 「36세 매륵(買勒) 단제(檀帝) 갑인년(B.C 667년) 협야후(陜野侯) 배반명(裵命)을 보내어 바다의 도적을 토벌케 하였다. 12월엔 삼도(三島)가 모두 평정되었다. 遣陜野侯裵命往討海上十二月三島悉平」 위에 나오는 B.C 667년은 일본서기에 신무왕(神武王)이 등장하는 해이고, 위 협야후(陜野侯) 배반명(裵命)은 일본서기에 나오는 신무왕 즉 협야존(狹野尊)이다. 일본서기 저자는 일본서기를 만들기 이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의 고기(古記)에 협야후 배반명이 삼도(三島:일.. 더보기 중국 역대 왕 계보 중국역대 왕계표 中國王朝表 DATE 王朝 BC 2183 - BC 1752 夏 BC 1751 - BC 1111 商(殷) BC 1111 - BC 222 周 BC 221 - BC 206 秦 BC 206 - 220 漢 220 - 280 三國 265 - 420 晉 402 - 581 南北朝 581 - 618 隋 618 - 907 唐 907 - 960 五代 960 - 1279 宋 916 - 1125 遼 1038 - 1227 西夏 1115 - 1234 金 1279 - 1368 元 1368 - 1644 明 1644 - 1911 淸 1912 - Present 中華人民共和國 周 朝 (주나라) ┌──────┬───────┬───────┐ │ 王 │在 位 元 年 │退 位 末 年│ ├──────┼───────┼───────┤ │.. 더보기 역대 왕 계보 한국 역대 왕계표 HOME *2011년 올해는 한기(桓紀)로 9208년이 된다. 한기로 환산하려면 서기년에다 7197년을 더하면된다. *단기로는 올해가 4344년인데 단군조선 2,096년의 역사와 아울러 그이전의 18대에 걸쳐 1,565년간 중원대륙에서 펼쳐진 한웅천왕의 배달국의 역사와 그이전의 한인시대 3,301년의 역사를 찾아내는 것이 우리의 몫이자 역사탐구의 목표라 생각되어 좀 생소하긴 하나 왕계표를 한기로 환산하여 기재한 것이니 독자들의 동조를 구한다. 2011년6월2일 한국 배달국 단군조선 마한 번한 북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대진국(발해) 고려 조선 (1) 한국(桓國) 한인계표 왕명 : 한인(桓仁) - 7대 3301년(한기 1 ~ 3301, BC7198 ~ BC3898) 대 왕 명 즉위년도(한기.. 더보기 고려사 34대 공양왕 32대 우왕과 33대 창왕은 이성계 의 의해 옹대됐대 신돈의 자식이라 억지 부려서 바로 폐해 여기서는 우왕과 창왕을 간단히 적고 끝넨다 제34대 공양왕(恭讓王,1389~1392) 공양왕은 제20대 왕 신종의 6대손인 정원부원군 왕균과 그의 정실부인 왕씨 사이에서 1345년 2월 태어났으며, 이름은 요(瑤)이다. 처음에 정창부원군으로 봉해졌다가 다시 정창군으로 개봉되었으며, 1389년 11월 이성계(李成桂), 심덕부(沈德符) 등에 의하여 창왕이 폐위되자 추대 되어 고려 마지막 왕위에 올랐다. 이때 그의 나이 45세였다. 공양왕이 즉위 후, 이성계일파의 압력과 간섭을 물리치지 못하고 우왕을 강릉에서, 창왕을 강화에서 각각 살해하였다. 재위 3년동안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사회전반에 걸쳐 몇 차례 제도.. 더보기 고려사 31대 공민왕 제31대공민왕(恭愍王,1351~1374) 호 이재(怡齋)·익당(益堂). 이름 전(勿). 초명 기(祺). 몽골식 이름 빠이앤티무르[伯顔帖木兒]. 충숙왕의 둘째아들이다. 비는 원(元)나라 위왕(魏王)의 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이다. 충목왕이 즉위할 때 강릉대군(江陵大君)에 봉해졌다. 1341년(충혜왕 복위 2) 숙위(宿衛)하기 위하여 원나라에 가서, 노국대장공주와 결혼하였다. 원나라의 지시로 충정왕이 폐위되면서 왕위에 올랐다. 원나라가 쇠퇴해지자 원나라 배척운동을 일으키고, 1352년(공민왕 1) 변발(폴髮) ·호복(胡服) 등의 몽골풍을 폐지하였다. 1356년 몽골 연호 ·관제를 폐지하여 문종 때의 제도로 복귀하는 한편, 내정을 간섭한 정동행중서성이문소(征東行中書省理問所)를 폐지하였다. 이어 원나라 왕.. 더보기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