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록

삼국사기 35권 잡지 제 4 三國史記卷第三十五. 삼국사기 권 제 35 雜志第四. 地理二. (+二)? 허성도. 잡지 제 4. 지리 2. ○, 本, 取之, 改爲, 今. 領縣二: , 本?, 幷之, 爲州, 置軍主, 改名, 今; , 本, 改名, 今. 趙炳舜. 『三國史節要』. 한주는 원래 고구려의 한산군이었던 것을 신라가 빼앗은 것으로서 경덕왕이 한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광주이다. 이 주에 속한 현은 둘이다. 황무현은 원래 고구려의 남천현으로서 신라가 병합하였고, 진흥왕이 주로 만들어 군주를 두었으며 경덕왕이 한주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이천현이다. 거서현은 원래 고구려의 구성현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용구현이다. ○, 本, 平之, 置小京, 時築城, 周二千五百九十二步, 改爲, 今. 중원경은 원래 고구려의 국원성으로서 신라가.. 더보기
삼국사기 잡지 34권 제 3 三國史記卷第三十四. 삼국사기 권 제 34 雜志第三. 地理一. (+一)? 허성도. 잡지 제 3. 지리 1. ○疆界, 古傳記不同. 『通典』云: "其先本種, 其國在·二國東南, 東濱大海." ?『唐書』云: "東南俱限大海." 『新書』云: "東南, 西, 北, 南濱海." 『四夷述』曰: "在東, 東抵海, 北與接." 曰: "則, 則, 則也." 此諸說, 可謂近似焉. 若『新·舊唐書』皆云: "苗裔在之地." 『新唐書』又云: "東距長人, 長人者, 人長三丈, 鋸牙鉤爪, 搏人以食, 常屯弩士數千, 守之." 此皆傳聞懸說, 非實錄也. 按兩『漢志』: "距, 東北五千里." 注曰: "屬, 故也." 則似與時, 伐取[一作督.]小國, 置郡, 改名, 今. 領縣三: , 本[一云.], 改名, 今因之; , 本, 改名, 今部曲; , 本, 改名, 今因之. 李丙.. 더보기
삼국사기 잡지 33권 제 2 三國史記卷第三十三. 삼국사기 권 제 33 雜志第二. 色服·車騎·器用·屋舍. 잡지 제 2. 복색. 거마. 기물. 가옥. 色服)?. 허성도. 복색. ○之初, 衣服之制, 不可考色. 至第二十三葉, 始定六部人服色尊卑之制, 猶是夷俗. 至在位二年, 入, 請襲儀, ?皇帝詔可之, 兼賜衣帶. 遂還來施行, 以夷易華. 在位四年, 又革婦人之服, 自此已後, 衣冠同於. 我受命, 凡國家法度, 多因舊, 則至今朝廷士女之衣裳, 蓋亦請來之遺制歟. 臣三奉使上國, 一行衣冠, 與人無異. 嘗入朝尙早, 立門, 一閤門員來問: "何者是人使?" 應曰: "我是." 則笑而去. 又使臣·來聘在館, 宴次見鄕粧倡女, 召來上階, 指闊袖衣·色絲帶·大裙, 漢{嘆}?曰: "此皆三代之服, 不擬{疑}?尙行." 於此, 知今之婦人禮服, 蓋亦之舊歟. 年代綿遠, 文史缺落, 其制不可.. 더보기
삼국사기 잡지 32권 제 1 삼국사기 잡지 (三國史記 雜志) (삼국사기 32권~40권 ) 三國史記卷第三十二 雜志第一. 祭祀·樂. 잡지 제 1. 제사. 음악. 祭祀. 제사. ○按宗廟之制, 第二代三年春, 始立始祖廟, 四時祭之, 以親妹主祭. 第二十二代?, 於始祖誕降之地, 創立神宮, 以享之. 至第三十六代, 始定五廟. 以爲姓始祖, 以·, 平·, 有大功德, ?爲世世不毁之宗, 兼親廟二爲五廟. 至第三十七代, 立社稷壇. 又見於祀典, 皆(+祭)?境內山川, 而不及天地者, 蓋以『王制』曰: "天子七廟, 諸侯五廟, 二昭·二穆與太祖之廟而五." 又曰: "天子祭天地·天下名山大川, 諸侯祭社稷·名山大川之在其地者." 是故, 不敢越禮而行之者歟. 然其壇堂之高下·?門之內外·次位之尊卑·陳設登降之節·尊爵·?豆·牲牢·冊祝之禮, 不可得而推也, 但粗記其大略云爾. 今西龍.『북한본』... 더보기
삼국사기 연표 권 제 31 三國史記卷第三十一. 삼국사기 권 제 31 年表下 +------+------+--------------------+--------------------+-------------------+----------------+ | 西曆 | 干支 | 中 國 | 新 羅 | 高句麗 | 百 濟 | +------+------+--------------------+--------------------+-------------------+----------------+ |AD609 | 己巳 | 大業 五年 | 眞平王 | ?陽王 | 武王 | | | | | 三十一年 | 二十年 | 十年 | +------+------+--------------------+--------------------+-------------------+---.. 더보기
삼국사기 연표 권 제 30 三國史記卷第三十. 삼국사기 권 제 30 年表中 +------+------+-------------------+-------------------+--------------------+----------------+ | 西曆 | 干支 | 中 國 | 新 羅 | 高句麗 | 百 濟 | +------+------+-------------------+-------------------+--------------------+----------------+ |AD275 | 乙未 | 西晋, 咸寧元年 | 味鄒尼師今 | 西川王 | 古爾王 | | | | 吳改元天冊 | 十四年 | 六年 | 四十二年 | +------+------+-------------------+-------------------+----------------.. 더보기
삼국사기 연표 권 제 29 삼국사기 연표(三國史記 年表) (삼국사기 29권~31권 ) 正德本에는 BC와 AD의 연도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독자의 편의를 위하여 이를 삽입하기로 한다. 또한 正德本에는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한 원년란에만 연호와 원년 표시가 동시에 있을 뿐, 해당 연호 사용의 다음 해부터는 연도만 기록되어 있고, 연호는 생략되어 있다. 왕의 즉위연도에는 왕명과 원년이 동시에 나와 있다. 그러나 왕의 즉위 다음 해부터는 왕명이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연표에서는 매 해마다 연호와 왕명을 삽입하였다. 이것 또한 독자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年表 (上 ) ○海東有國家久矣. 自受封於室, 僭號於初, 年代綿邈, 文字?略, 固莫得而詳馬{焉}?. 至於三國鼎峙, 則傳世尤多. 五十六王, 九百九十二年; 二十八王, 七百五年; 三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