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록

삼국사기 38권 잡지 제 7

三國史記卷第三十八.

삼국사기 권 제 38

雜志第七.

職官上.

잡지 제 7.

관직 상.

○<新羅>官號, 因時沿革, 不同其名言, <唐>夷相雜, 其曰侍中·郞中等者, 皆<唐>官名, 其義若可考. 曰伊伐瑗·伊瑗等者, 皆夷言, 不知所以言之之意. 當初之施設, 必也職有常守, 位有定員, 所以辨其尊卑, 待其人才之大小. 世久, 文記缺落, 不可得穹考而周詳. 觀其第二<南解王>, 以國事委任大臣, 謂之大輔, 第三<儒理王>, 設位十七等. 自是之後, 其名目繁多, 今採其可考者, 以著于篇.

신라 관직의 호칭은 시대에 따라 바뀌어 그 명칭이 같지 않다. 이에는 당 나라의 명칭과 우리나라의 명칭이 섞여 있다. 예컨대 시중이나 낭중이라고 하는 것은 모두 당의 관직명으로서 그 의미를 알 수 있으나 이벌찬 혹은 이찬과 같은 것들은 모두 우리나라 말로서 그 명칭을 붙이게 된 의미를 알 수가 없다. 처음 이러한 관직을 두었을 때는, 틀림없이 관직마다 일정한 임무가 있고, 직위마다 일정한 인원이 있었을 것이며, 그것으로써 직책의 상하를 구분하고, 능력의 대소에 따라 임무를 맡겼을 것이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자 문헌이 사라졌고, 이에 따라 고증하거나 상세하게 밝힐 수 있는 방도가 없어져 버렸다. 신라의 2대 임금 남해왕이 나라 일을 대신에게 위임하고 그를 대보라 하였으며, 3대 임금 유리왕이 17등급의 작위를 두었다는 것은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그 이후는 관직명이 복잡하게 많아졌다. 이제 고증할 수 있는 부분을 모아 이 책에 기록한다.

○大輔, <南解王>七年, 以<脫解>爲之. <儒理王>九年, 置十七等: 一曰伊伐瑗[或云伊罰干, 或云于伐瑗, 或云角干, 或云角粲, 或云舒發翰, 或云舒弗邯.]; 二曰伊尺瑗[或云伊瑗.]; 三曰?瑗[或云?判, 或云蘇判]; 四曰波珍瑗[或云海干, 或云破彌干.]; 五曰大阿瑗, 從此至伊伐瑗, 唯眞骨受之, 他宗則否; 六曰阿瑗[或云阿尺干, 或云阿粲.], 自重阿瑗至四重阿瑗; 七曰一吉瑗[或云乙吉干.]; 八曰沙瑗[或云薩瑗, 或云沙尉干.]; 九曰級伐瑗[或云級瑗, 或云及伏干.]; 十曰大奈麻[或云大奈末.], 自重奈麻至九重奈麻; 十一曰奈麻[或云奈末.], 自重奈麻至七重奈麻; 十二曰大舍[或云韓舍.]; 十三曰舍知[或云小舍.]; 十四曰吉士[或云稽知, 或云吉次.]; 十五曰大烏[或云大烏知.]; 十六曰小烏[或云小烏知.]; 十七曰造位[或云先沮知.].

대보: 남해왕 7년에 탈해를 대보로 삼았다.

유리왕 9년에 다음과 같은 17등급을 두었다.

첫째는 이벌찬[혹은 이벌간, 우벌찬, 각간, 각찬, 서발한, 서불한이라고도 한다.]이다.

둘째는 이척찬[혹은 이찬이라고도 한다.]이다.

셋째는 잡찬[혹은 잡판 혹은 소판이라고도 한다.]이다.

넷째는 파진찬[혹은 해간 혹은 파미간이라고도 한다.]이다.

다섯째는 대아찬이다. 이로부터 위로 이벌찬까지는 오직 진골만이 될 수 있으며, 다른 계통은 안된다.

여섯째는 아찬[혹은 아척간 혹은 아찬이라고도 한다.]이다. 이에는 중아찬으로부터 사중아찬까지 있다.

일곱째는 일길찬[혹은 을길간이라고도 한다.]이다.

여덟째는 사찬[혹은 살찬 혹은 사돌간이라고도 한다.]이다.

아홉째는 급벌찬[혹은 급찬이나 급복간이라고도 한다.]이다.

열째는 대나마[혹은 대나말이라고도 한다.]이다. 이에는 중나마로부터 구중나마까지의 구분이 있다.

열한째는 나마[혹은 나말이라고도 한다.]이다. 이에는 중나마로부터 칠중나마까지의 구분이 있다.

열두째는 대사[혹은 한사라고도 한다.]이다.

열세째는 사지[혹은 소사라고도 한다.]이다.

열네째는 길사[혹은 계지, 길차라고도 한다.]이다.

열다섯째는 대오[혹은 대오지라고도 한다.]이다.

열여섯째는 소오[혹은 소오지라고도 한다.]이다.

열일곱째는 조위[혹은 선저지라고도 한다.]이다.

○上大等[或云上臣], <法興王>十八年, 始置.

상대등[혹은 상신이라고 한다.]: 법흥왕 18년에 처음으로 상대등을 두었다.

○大角干[或云大舒發翰.], <太宗王>七年, 滅<百濟>論功, 授大將軍<金庾信>大角干, 於前十七位之上加之, 非常位也.

대각간[혹은 대서발한이라고 한다.]: 태종왕 7년, 백제를 격멸하고 공로를 평가할 때 대장군 김 유신을 대각간으로 임명하여 이전 17등급의 작위의 윗 등급에 이를 첨가하였다. 따라서 대각간은 고정적인 작위는 아니였다.

○太大角干[或云太大舒發翰.], <文武王>八年, 滅<高句麗>, 授留守<金庾信>以太大角干, 賞其元謀也. 於前十七位及大角干之上, 加此位, 以示殊尤之禮.

태대각간[혹은 태대서발한이라고 한다.]: 문무왕 8년에 고구려를 격멸하자 유수 김 유신을 태대각간에 임명하여 그의 원훈을 표창하였다. 이는 이전 17등급의 작위 및 대각간 보다 상위에 이 작위를 두어 특별한 우대의 예를 표시한 것이다.

○執事省, 本名稟主[或云祖主.], <眞德王>五年, 改爲執事部. <興德王>四年, 又改爲省. 中侍一入{中侍一人?/執事中侍?}, <眞德王>五年置. <景德王>六年, 改爲侍中, 位自大阿瑗至伊食{伊瑗}?爲之. 典大等二人, <眞興王>二十六年置. <景德王>六年, 改爲侍郞, 位自奈麻至阿瑗爲之. 大舍二人, <眞平王>十一年置. <景德王>十八年, 改爲郞中[一云<眞德王>五年改.], 位自舍知主{至}?奈麻爲之. 舍知二人, <神文王>五年置. <景德王>十八年, 改爲員外郞. <惠恭王>十二年, 復稱舍知, 位自舍知至大舍爲之. 史十四人, <文武王>十一{二}?年, 加六人. <景德王>改爲郞, <惠恭王>復稱史, 位自先沮知至大舍爲之.

今西龍.趙炳舜. 『三國史節要』.今西龍.今西龍.趙炳舜. 『三國史節要』.

집사성: 본래는 늠주[혹은 조주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진덕왕 5년에 집사부로 고쳤고, 흥덕왕 4년에 다시 집사성으로 개칭하였다. 여기에는 1명의 중시가 있었는데 이 제도는 진덕왕 5년에 시작되었다. 경덕왕 6년에 다시 이를 시중이라 하였고,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이찬까지이다. 2명의 전대등은 진흥왕 26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6년에 시랑으로 고쳤다. 관등은 나마로부터 아찬까지이다. 2명의 대사를, 진평왕 11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18년에 낭중으로 고쳤다[진덕왕 5년에 고쳤다고 한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2명의 사지를 신문왕 5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18년에 원외랑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12년에 다시 사지로 개칭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14명의 사는 문무왕 11[원문 1자 결자.]년에 6명을 증원하였고, 경덕왕 때 낭으로 개칭하였다가 혜공왕 때 다시 사로 바꾸었다. 관등은 선저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兵部, 令一人, <法興王>三{四}?年始置. <眞興王>五年, 加一人, <太宗王>六年, 又加一人, 位自大阿瑗至太大角干爲之, 又得兼宰相·私臣. 大監二人, <眞平王>四十五年初置, <太宗王>十五年?, 加一人, <景德王>改爲侍郞, <惠恭王>復稱大監, 位自□瑗{級瑗}?至阿食{阿瑗}?爲之. 第監二人, <眞平王>十一年置. <太宗王>五年, 改爲大舍. <景德王>改爲郞中, <惠恭王>復稱大舍, 位自舍知王{至}?奈麻爲之. 弩舍知一人, <文武王>十二年, 始置. <景德王>改爲司兵, <惠恭王>復稱弩舍知, 位自舍知至大舍爲之. 史十二人, <文武王>十一年, 加二人, 十二年, 加三人, 位自先沮知至大舍爲之. 弩幢一人, <文武王>十一年置. <景德王>改爲小司兵, <惠恭王>復故, 位與史同.

趙炳舜. 『三國史節要』, 『三國史記』 新羅本紀.趙炳舜은 太宗의 재위년수가 8년이므로 '<太宗王>十五年'이라는 기사는 잘못된 것으로 본다.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병부: 1명의 영을, 법흥왕 3년에 처음으로 두었다. 진흥왕 5년에 1명을 증원하였으며, 태종왕 6년에 다시 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태대각간까지이다. 영은 또한 재상과 사신(私臣)을 겸할 수 있었다. 2명의 대감을, 진평왕 45년에 처음으로 두었는데, 태종왕 15년에 1명을 증원하였고, 경덕왕 때 시랑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감으로 개칭하였다. 관등은 [원문 1자 결자.]찬으로부터 아찬까지이다. 2명의 제감을, 진평왕 11년에 두었는데, 태종왕 5년에 이를 대사로 고쳤고, 경덕왕 때 낭중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로 개칭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1명의 노사지를, 문무왕 12년에 처음으로 두었는데, 경덕왕 때 사병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노사지로 개칭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병부에는 12명의 사를 두었는데 문무왕 11년에 2명을 증원하였고, 12년에 다시 3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선저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1명의 노당을, 문무왕 11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때 소사병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이전의 명칭으로 개칭하였다. 관등은 사와 동일하다.

○調府, <眞平王>六年置. <景德王>改爲大府, <惠恭王>復故. 令二人, <眞德王>五年置, 位自衿荷至太大角干爲之. 卿二人,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位與兵部大監同. 大舍二人, <眞德王>置. <景德王>改爲主簿, <惠恭王>復稱大舍, 位自舍知至奈麻爲之. 舍知一人, <神文王>五年置. <景德王>改爲司庫, <惠恭王>復稱舍知, 位自舍知至大舍爲之. 史八人, <孝昭王{孝照王}>?四年, 加二人, 位與兵部史同.

趙炳舜. 新羅皇福寺石塔金銅舍利函銘.

조부: 진평왕 6년에 설치하였는데, 경덕왕 때 대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이전 명칭으로 개칭하였다. 진덕왕 5년에 조부에 2명의 영을 두었다. 관등은 금하로부터 태대각간까지이다. 2명의 경을 두었는데, 문무왕 15년에 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대감과 동일하다. 진덕왕 때 2명의 대사를 두었는데, 경덕왕 때 주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로 개칭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신문왕 5년에 1명의 사지를 두었는데, 경덕왕 때 사고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사지라고 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8명의 사를 두었는데, 효소왕 4년에 2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사와 동일하다.

○京城周作典, <景德王>改爲修城府, <惠恭王>復故. 令五人, <聖德王>三十一年置, 位自大阿瑗至大角干爲之. 卿六人, <聖德王>三十二年置, 位與執事侍郞同. 大舍六人, <景德王>改爲主簿, <惠恭王>復稱大舍,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舍知一人, <景德王>改爲司功, <惠恭王>復稱舍知, 位自舍知至大舍爲之. 史八人, 位與調府史同.

경성주작전: 이 관청은 경덕왕 때 수성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5명의 영을, 성덕왕 31년에 두었다.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대각간까지이다. 6명의 경을, 성덕왕 32년에 두었다. 관등은 집사성의 시랑과 동일하다. 이 관청에는 6명의 대사가 있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라고 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사지는 1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사공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사지라고 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사는 8명인데 관등은 조부의 사와 동일하다.

○四天王寺成典, <景德王>改爲監四天王寺府, <惠恭王>復故. 衿荷臣一人, <景德王>改爲監令, <惠恭王>復稱衿荷臣, <哀莊王>又改爲合{令}?, 位自大阿瑗至角干爲之.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卿, <惠恭王>復稱上堂, <哀莊王>又改爲卿, 位自奈麻至阿瑗爲之. 赤位一人, <景德王>改爲監, <惠恭王>復稱赤位. 靑位二人, <景德王>改爲主簿, <惠恭王>復稱靑位, <哀莊王>改爲大舍, 省一人,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二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사천왕사성전: 경덕왕 때 감사천왕사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1명의 금하신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감령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금하신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영으로 고쳤다.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상당은 1명이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경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상당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다시 경으로 고쳤다. 관등은 나마로부터 아찬까지이다. 적위는 1명이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감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적위라고 하였다. 청위는 2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청위라 하였으며 애장왕 때는 대사로 고치고, 1명을 감원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2명이었다.

○奉聖寺成典, <景德王>改爲修營奉聖寺(-使)?院, 後復故{古}?. 衿荷臣一人, <景德王>改爲檢校使, <惠恭王>復稱衿荷臣, <哀莊王>改爲令.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副使, 後復稱上堂. 赤位一人, <景德王>改爲判官, 後復稱赤位. 靑位一人, <景德王>改爲錄事, 後復稱靑位. 史二人, <景德王>改爲典, 後復稱史.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봉성사성전: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수영봉성사사원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의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1명의 금하신이 있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검교사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금하신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영으로 고쳤다. 상당은 1명이었는데 경덕왕 때 부사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상당으로 고쳤다. 적위는 1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판관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적위라고 하였다. 청위는 1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녹사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청위라고 하였다. 사는 2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전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라고 하였다.

○感恩寺成典, <景德王>改爲修營感恩寺使院, 後復故{古}?. 衿荷臣一人, <景德王>改爲檢校使, <惠恭王>復稱衿荷臣. <哀莊王>改爲合{令}?,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副使, <惠恭王>復稱上堂, <哀莊王>改爲卿[一云省卿置赤位.], 赤位一人, <景德王>改爲判官, 後復稱赤位. 靑位一人, <景德王>改爲錄事, 後復稱靑位. 史二人, <景德王>改爲典, 後復稱史.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감은사성전: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수영감은사사원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금하신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검교사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금하신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영으로 고쳤다. 상당은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부사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상당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경으로 고쳤다.[혹은 경을 없애고 적위를 두었다고도 한다.] 적위는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판관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적위라고 하였다. 청위는 1명인데 경덕왕 때 녹사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청위라고 하였다. 사는 2명인데 경덕왕 때 전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라고 하였다.

○奉德寺成典, <景德王>十八年, 改爲修營奉德寺使院, 後復故{古}?. 衿荷臣一人, <景德王>改爲檢校使, <惠恭王>復稱衿荷臣, <哀莊王>又改爲卿.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副使, <惠恭王>復稱上堂, <哀莊王>又改爲卿. 赤位一人, <景德王>改爲判官, <惠恭王>復稱赤位. 靑位二人, <景德王>改爲錄事, <惠恭王>復稱靑位. 史六人, 後省四人, <景德王>改爲典, <惠恭王>復稱史.

趙炳舜. 『三國史節要』.

봉덕사성전: 경덕왕 18년에 그 명칭을 수영봉덕사사원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금하신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검교사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금하신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다시 경으로 고쳤다. 상당은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부사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상당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다시 경으로 고쳤다. 적위는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판관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적위라고 하였다. 청위는 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녹사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청위라 하였다. 사는 6명을 두었는데 뒤에 4명을 감원하였다.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전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사라고 하였다.

○奉思寺{奉恩寺}?成典, 衿荷臣一人, <惠恭王>始置, <哀莊王>改爲令. 副使一人, <惠恭王>始置, 尋改爲上堂, <哀莊王>又改爲卿. 大舍二人, 史二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봉은사성전: 금하신 1명을, 혜공왕 때 처음으로 두었고 애장왕 때 영으로 고쳤다. 부사 1명을 혜공왕 때 처음으로 두었고, 얼마 후에 상당으로 개칭하였으며, 애장왕 때 경으로 고쳤다. 대사는 2명, 사도 2명을 두었다.

○靈廟寺成典, <景德王>十八年, 改爲修營靈廟寺使院, 後復故{古}?.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判官, 後復稱上堂. 靑位一人, <景德王>改爲錄事, 後又改爲大舍. 史二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영묘사성전: 경덕왕 18년에 수영영묘사사원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상당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판관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상당이라고 하였다. 청위는 1명인데 경덕왕 때 녹사로 고쳤다가 뒤에 대사로 개칭하였다. 사는 2명이었다.

○永興寺成典, <神文王>四年始置, <景德王>十八年, 改爲監永興寺館. 大奈麻一人, <景德王>改爲監. 史三人.

영흥사성전: 신문왕 4년에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경덕왕 18년에 그 명칭을 감영흥사관으로 개칭하였다. 여기에는 대나마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감으로 고쳤다. 사는 3명을 두었다.

○倉部, 昔者, 倉部之事, 兼於稟主, 至<眞德王>五年, 分置此司. 令二人, 位自大阿瑗至大角干爲之. 卿二人, <眞德王>五年置,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景德王>改爲侍郞, <惠恭王>復稱卿, 位與兵部大監同. 大舍二人, <眞德王>置. <景德王>改爲郞中, <惠恭王>復稱大舍, 位與兵部大舍同. 租舍知一{二}?人, <孝昭王{孝照王}>?八年置, <景德王>改爲司倉, <惠恭王>復故, 位與弩舍知同. 史八人, <眞德王>置. <文武王>十一年, 加三人, 十二年, 加七入{人}?; <孝昭王{孝照王}>?八年, 加一人; <景德王>十一年, 加三人; <惠恭王>加八人.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新羅皇福寺石塔金銅舍利函銘.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新羅皇福寺石塔金銅舍利函銘.

창부: 옛날에는 창부의 일을 늠주에게 겸임시켰는데, 진덕왕 5년에 이 기관을 나누었다. 여기에는 영 2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대각간까지이다. 진덕왕 5년에 경 2명을 두었고, 문무왕 15년에 1명을 증원하였으며, 경덕왕 때 시랑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경이라고 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대감과 동일하다. 대사 2명을 진덕왕 때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낭중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효소왕 8년에 조사지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사창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되었다. 관등은 노사지와 동일하다. 사 8명을 진덕왕 때 두었고, 문무왕 11년에 3명, 12년에 7명, 효소왕 8년에 1명, 경덕왕 11년에 3명, 혜공왕 때 8명을 증원하였다.

○禮部, 令二人, <眞平王>八年置, 位與兵部令同. 卿二人, <眞德王>二年[一云五年.]置,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位與調府卿同. 大舍二人, <眞德王>五年置. <景德王>改爲主簿, 後復稱大舍, 位與調府大舍同. 舍知一人, <景德王>改爲司禮, ?{後}?復稱舍知, 位與調府舍知同. 史八人, <眞德王>五年, 加三人, 位與調府史同.

今西龍.

예부: 영 2명을 진평왕 8년에 두었는데, 관등은 병부의 영과 동일하다. 경 2명을 진덕왕 2년[5년이라고도 한다.]에 두었다가, 문무왕 15년에 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경과 동일하다. 대사 2명을 진덕왕 5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지는 1명인데 경덕왕 때 사례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지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지와 동일하다. 사는 8명이었는데 진덕왕 5년에 3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와 동일하다.

○乘府, <景德王>改爲司馭府, <惠恭王>復故. 令二人, <眞平王>六年置, 位自大阿瑗至角于{角干}?爲之. 卿二人,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位與調府卿同.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簿, 後復稱大舍, 位與兵部大舍同. 舍知一人, <景德王>改爲司牧, 後復稱舍知, 位與調府舍知同. 史九人, <文武王>十一年, 加三人, 位與調府史同.

今西龍.

승부: 경덕왕 때 사어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영 2명을 진평왕 6년에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경은 2명인데 문무왕 15년에 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경과 동일하다. 대사가 2명인데 경덕왕 때 주부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지가 1명인데 경덕왕 때 사목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지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지와 동일하다. 사는 9명인데 문무왕 11년에 3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와 동일하다.

○司正府, <太宗王>六年置. <景德王>改爲肅正臺, <惠恭王>復故. 令一人, 位自大阿瑗至角干爲之. 卿二人, <眞興王>五年置.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位與乘府卿同. 佐二人. <孝成王>元年, 爲犯大王諱, 凡丞皆稱佐. <景德王>改爲評事, 後復稱佐, 位自奈麻至天奈麻{大奈麻}?爲之. 大舍二人,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十人, <文武王>十一年, 加五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사정부: 태종왕 6년에 설치하였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숙정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영 1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진흥왕 5년에 경 2명을 두었는데, 문무왕 15년에 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승부의 경과 동일하다. 좌 2명을 두었다. 효성왕 원년에는 대왕의 휘와 같다고 하여 모든 승을 좌로 개칭하였다.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평사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좌라고 하였다. 관등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대사가 2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10명인데 문무왕 11년에 5명을 증원하였다.

○例作府[一云例作典.], <景德王>改爲修例府, <惠恭王>復故. 令一人, <神文王>六年置, 位自大阿瑗至角于{角干}?爲之. 卿二人, <神文王>置, 位與司正卿同. 大舍四人, <哀莊王>六年, 省二人, <景德王>改爲主簿, 後復稱大舍, 位與兵部大舍同. 舍知二人, <景德王>改爲司例, 後復稱舍知, 位與弩舍知同. 史八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예작부[예작전이라고도 한다.]: 경덕왕 때 수례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영 1명을 신문왕 6년에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경 2명을 신문왕 때 두었는데, 관등은 사정부의 경과 동일하다. 대사가 4명이었으나 애장왕 6년에 2명을 감하였고,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지는 2명인데 경덕왕 때 사례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지라고 하였다. 관등은 노사지와 같았다. 사는 8명을 두었다.

○船府, 舊以兵部大監·弟監, 掌舟楫之事. <文武王>十八年別置, <景德王>改爲利濟府, <惠恭王>復故. 令一人, 位自大阿瑗至角干爲之. 卿二人, <文武王>三年置, <神文王>八年, 加一人, 位與調府卿同.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簿, <惠恭王>復稱大舍, 位與調府大舍同. 舍知一人, <景德王>改爲司舟, <惠恭王>復稱舍知, 位與調府舍知同. 史八人, <神文王>元年, 加二人, <哀莊王>六年, 省二人.

선부: 예전에는 병부의 대감과 제감으로 하여금 선박에 관한 일을 담당하게 하였으나 문무왕 18년에 선부를 별도로 설치하였다.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이제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영 1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경 2명을 문무왕 3년에 두었는데, 신문왕 8년에 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경과 동일하다. 대사는 2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라고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지는 1명인데 경덕왕 때 사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사지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지와 동일하다. 사는 8명인데 신문왕 원년에 2명을 증원하였고 애장왕 6년에 2명을 감하였다.

○領客府, 本名倭典, <眞平王>四十三年, 改爲領客典[後又別置倭典.], <景德王>又改爲司賓府, <惠恭王>復故. 令二人, <眞德王>五年置, 位自大阿瑗至角干爲之. 卿二人,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位與調府卿同.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簿, <惠恭王>復稱大舍, 位與調府大舍同. 舍知一人, <景德王>改爲司儀, <惠恭王>復稱舍知, 位與調府舍知同, 史八人.

영객부: 본래의 명칭은 왜전인데 진평왕 43년에 영객전으로 개칭하였고[뒤에 다시 왜전을 별도로 두었다.], 경덕왕 때 다시 사빈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영 2명을 진덕왕 5년에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경은 2명인데 문무왕 15년에 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경과 동일하다. 대사 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지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사의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사지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지와 동일하다. 사는 8명을 두었다.

○位和府, <眞平王>三年始置, <景德王>改爲司位府, <惠恭王>復故. 衿荷臣二人, <神文王>二年始置, 五年, 加一人, <哀莊王>六年, 改爲令, 位自伊瑗至大角干爲之. 上堂二人, <神文王>置, <聖德王>二年, 加一人. <哀莊王>改爲卿, 位自級瑗至阿瑗爲之.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簿, 後復稱大舍, 位與調府大舍同. 史八人.

위화부: 진평왕 3년에 처음으로 설치하였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사위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금하신 2명을 신문왕 2년에 처음으로 두었는데, 5년에 1명을 증원하였고 애장왕 6년에 영으로 개칭하였다. 관등은 이찬으로부터 대각간까지이다. 상당 2명을 신문왕 때 두었는데, 성덕왕 2년에 1명을 증원하였고, 애장왕 때 경으로 개칭하였다.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아찬까지이다. 대사 2명은 경덕왕 때 주부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는 8명을 두었다.

○左理方府, <眞德王>五年置, <孝昭王{孝照王}>?元年, 避大王諱, 改爲議方府. 令二人, 位自級瑗至?瑗爲之. 卿二人, <眞德王>置, <文武王>十八年, 加一人, 位與他卿同. 佐二人, <眞德王>置, <景德王>改爲評事, <惠恭王>復稱佐, 位與司正佐同. 大舍二人, 位與兵部大舍同. 史十五人, <元聖王>十三年, 省五人.

趙炳舜. 新羅皇福寺石塔金銅舍利函銘.

좌이방부: 진덕왕 5년에 설치하였는데 효소왕 원년에 대왕의 휘와 같다고 하여 의방부로 개칭하였다. 여기에는 영 2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잡찬까지이다. 경 2명을 진덕왕 때 두었는데, 문무왕 18년에 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다른 경과 동일하다. 좌 2명을 진덕왕 때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평사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좌라고 하였다. 관등은 사정부의 좌와 동일하다. 대사가 2명인데 관등은 병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는 15명이었는데 원성왕 13년에 5명을 감하였다.

○右理方府, <文武王>七年置. 令二人, 卿二人, 佐二人, 大舍二人, 史十人.

우이방부: 문무왕 7년에 설치하였다. 여기에는 영 2명, 경 2명, 좌 2명, 대사 2명, 사 10명을 두었다.

○賞賜署, 屬倉部. <景德王>改爲司勳監, <惠恭王>復故. 大正{大匠}?一人, <眞平王>四十六年置. <景德王>改爲正, 後復稱大正, 位自級瑗至阿瑗爲之. 佐一人, 位自大奈麻至級瑗爲之. 大舍二人, <眞德王>五年置, <景德王>改爲主書, <惠恭王>復稱大舍,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六人, <文武王>二十年, 加二人, <哀莊王>六年, 省二{三}?人.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상사서: 창부에 속하였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사훈감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대정 1명을 진평왕 46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정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정이라 하였다.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아찬까지이다. 좌는 1명인데 관등은 대나마로부터 급찬까지이다. 대사 2명을 진덕왕 5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서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6명이었는데 문무왕 20년에 2명을 증원하였고 애장왕 6년에 2명을 감하였다.

○大道署[或云寺典, 或云內道監.], 屬禮部. 大正一人, <眞平王>四十六年置. <景德王>改爲正, 後復稱大正, 位自級瑗至阿瑗爲之.[一云: 大正下有大舍二人.] 主書{主簿}?二人, <景德王>改爲主事.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八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대도서[혹은 사전 혹은 내도감이라고 한다.]: 예부에 속하였다. 대정 1명을 진평왕 46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정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정이라 하였다.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아찬까지이다.[대정 밑에 대사 2명이 있었다는 말이 있다.] 주서가 2명인데 경덕왕 때 주사로 개칭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8명을 두었다.

○典邑署, <景德王>改爲典京府, <惠恭王>復設{稱?/故?}. 卿二人[本置監六人, 分領六部, <元聖王>六年, 升二人爲卿], 位自奈麻至沙瑗爲之. 監四人,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大司邑六人, 位自舍知至奈麻爲之. 中司邑六人, 位自舍知至大舍爲之. 小司邑九人, 位與弩舍知同. 史十六人, 木尺七十人.

趙炳舜.『三國史節要』.今西龍.

전읍서: 경덕왕 때 전경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 경 2명[원래 감 6명을 두어 6부를 각각 통솔하게 하였는데 원성왕 6년에 2명을 경으로 발탁하였다.]을 두었다. 관등은 나마로부터 사찬까지이다. 감은 4명인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대사읍은 6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중사읍은 6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소사읍은 9명인데 관등은 노사지와 동일하다. 사는 16명, 목척은 70명이었다.

○永昌宮成典, <文武王>十七年置. 上堂一人, <景德王>置, 又改爲卿. <惠恭王>復稱上堂, <哀莊王>六年又改爲卿, 位自級瑗至阿瑗爲之.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簿, <惠恭王>復稱大舍,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四人.

영창궁성전: 문무왕 17년에 설치하였다. 상당 1명을 경덕왕 때 두었다가, 그 명칭을 경으로 고쳤으며, 혜공왕 때 다시 상당으로 개칭하였다가 애장왕 6년에 다시 경으로 고쳤다.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아찬까지이다. 대사는 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주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라고 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4명이었다.

○國學, 屬禮部. <神文王>二年置, <景德王>改爲大學監, <惠恭王>復故. 卿一人, <景德王>改爲司業, <惠恭王>復稱卿, 位與他卿同. 博士[若干人, 數不定.], 助敎[若干人, 數不定], 大舍二人, <眞德王>五年置, <景德王>改爲主簿, <惠恭王>復稱大舍,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二人, <惠恭王>元年, 加二人. 敎授之法, 以『周易』·『尙書』·『毛詩』·『禮記』·『春秋左氏傳』·『文選』, 分而爲之業. 博士若助敎一人, 或以『禮記』·『周易』·『論語』·『孝經』, 或以『春秋左傳』·『毛詩』·『論語』·『孝經』, 或以『尙書』·『論語』·『孝經』·『文選』, 敎授之. 諸生讀書, 以三品出身, 讀『春秋左氏傳』, 若『禮記』, 若『文選』而能通其義, 兼明『論語』·『孝經』者爲上; 讀『曲禮』·『論語』·『孝經』者爲中; 讀『曲禮』·『孝經』者爲下. 若能兼通五經·三史·諸子百家書者, 超擢用之. 或差算學博士若助敎一人, 以『綴經』·『三開』·『九章』·『六章』, 敎授之. 凡學生, 位自大舍已下至無位, 年自十五至三十, 皆充之. 限九年, 若朴魯不化者罷之. 若才器可成, 而未熟者, 雖踰九年, 許在學, 位至大奈麻·奈麻而後, 出學.

국학: 예부에 속하였는데 신문왕 2년에 설치하였고,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태학감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경은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사업으로 개칭하였다가 혜공왕 때 다시 경으로 바꾸었다. 관등은 다른 경과 동일하다. 박사[약간명으로서 정원은 정하지 않았다.]와 조교[약간명으로서 정원은 정하지 않았다.]와 대사 2명을, 진덕왕 5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로 바꾸었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가 2명인데 혜공왕 원년에 2명을 증원하였다. 교수하는 방법은 [주역], [상서], [모시], [예기], [춘추좌씨전], [문선]으로 구분하여 과정을 삼았으며, 박사와 조교 1명이 [예기], [주역], [논어], [효경]을 가르치거나, 혹은 [춘추좌전], [모시], [논어], [효경]을 가르치거나, 혹은 [상서], [논어], [효경], [문선]을 가르쳤다. 모든 학생들이 독서함에 있어서, 3품 출신으로서 [춘추좌씨전]을 읽고, [예기]나 [문선]의 뜻을 통달하고 동시에 [논어], [효경]에 밝은 자는 상급이 되고, [곡례], [논어], [효경]을 읽은 자는 중급이 되었으며, [곡례], [효경]만을 읽은 자는 하급이 되었다. 5경, 3사, 제자백가서를 전부 통달한 자는 등급에 관계하지 않고 발탁하였다. 경우에 따라 산학박사와 조교 1명으로 하여금 [철경], [삼개], [구장], [육장]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대사 이하의 관등으로부터 작위가 없는 자에 이르기까지 나이가 15세에서 30세 된 자들이 모두 학생이 되었다. 학업은 9년을 한도로 하되 만일 재질이 노둔하여 인재가 될 가능성이 없는 자는 퇴학시켰다. 재주와 도량은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성숙되지 못한 자는 비록 9년을 초과하더라도 국학에 있게 하였고, 작위가 대나마와 나마에 이른 뒤에는 국학에서 나가게 된다.

○音聲署, 屬禮部, <景德王>改爲大樂監, <惠恭王>復故. 長二人, <神文王>七年, 改爲卿, <景德王>又改爲司樂, <惠恭王>復稱卿, 位與他卿同, 大舍二人, <眞德王>五年置, <景德王>改爲主簿, 後復稱大舍,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四人.

음성서: 예부에 속하였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대악감으로 개칭하였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장 2명을 두었는데, 신문왕 7년에 경으로 개칭하였고, 경덕왕 때 다시 사악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경이라고 하였다. 관등은 다른 경과 동일하다. 대사 2명을 진덕왕 5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고 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4명을 두었다.

○大日任典, <太宗王>四年置, <景德王>合典京府. 大都司六人, <景德王>改爲大典儀, 後復故,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小都司二人, <景德王>改爲小典儀, 後復故, 位自舍知至大舍爲之. 都事大舍二人, <景德王>改爲大典事, 後復故, 位自舍知至奈麻爲之. 都事舍知{舍人}?四人, <景德王>改爲中典事, 後復故, 位自舍知至大舍爲之. 都謁舍知八人, <景德王>改爲典謁, 後復故, 位自舍知至大舍爲之. 都引舍知一人, <景德王>改爲典引, 後復故. 位與弩舍知同. 幢六人, <景德王>改爲小典事, 後復故. 位與調府史同. 都事稽知六人, 都謁稽知六人, 都引稽知五人[或云都引幢, 或云少典引.], 比伐首十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대일임전: 태종왕 4년에 설치하였는데 경덕왕 때 전경부에 통합시켰다. 대도사 6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대전의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소도사가 2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소전의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도사대사는 2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대전사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도사사지는 4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중전사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도알사지는 8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전알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도인사지는 1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전인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노사지와 동일하였다. 당은 6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소전사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조부의 사와 동일하다. 도사계지는 6명, 도알계지는 6명, 도인계지는 5명[혹은 도인당, 혹은 소전인이라고 한다.], 비벌수는 10명을 두었다.

○工匠府, <景德王>改爲典祀署, 後復故. 監一人, <神文王>二年置, 位自大奈麻至級瑗爲之. 主書二人[或云主事, 或云大舍.], <眞德王>五年置,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四人.

공장부: 경덕왕 때 전사서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감 1명을 신문왕 2년에 두었는데, 관등은 대나마로부터 급찬까지이다. 주서 2명[혹은 주사, 혹은 대사라고 한다.]을 진덕왕 5년에 두었는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4명을 두었다.

○彩典, <景德王>改爲典彩署, 後復故{古}?. 監一人, <神文王>二年置,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主書二人, <眞德王>五年置,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三人[一云四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채전: 경덕왕 때 전채서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감 1명을 신문왕 2년에 두었는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주서 2명을 진덕왕 5년에 두었는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3명[4명이라고도 한다.]을 두었다.

○左司祿館, <文武王>十七年置. 監一人,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主書二人[或云主事.],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四人.

좌사록관: 문무왕 17년에 설치하였다. 감은 1명인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주서가 2명[혹은 주사라고 한다.]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4명을 두었다.

○右司祿館, <文武王>二十一年置. 監一人, 主書二人, 史四人.

우사록관: 문무왕 21년에 설치하였는데 감 1명, 주서 2명, 사 4명을 두었다.

○典祀署, 屬禮部, <聖德王>十二年置. 監一人,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大舍二人, <眞德王>五年置,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四人.

전사서: 예부에 속하였다. 성덕왕 12년에 설치하였다. 감이 1명인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대사 2명을 진덕왕 5년에 두었는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는 4명을 두었다.

○新宮, <聖德王>十六年置. <景德王>改爲典設館, 後復故. 監一人, 位與典祀署監同. 主書二人, 位與典祀署大舍同. 史三人.

신궁: 성덕왕 16년에 설치하였다. 경덕왕 때 명칭을 전설관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감이 1명인데 관등은 전사서의 감과 동일하다. 주서가 2명인데 관등은 전사서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는 3명을 두었다.

○東市典, <智證王>九{十}?年置. 監二人,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事, 後復稱大舍, 位自舍知至奈麻爲之. 書生二人, <景德王>改爲司直, 後復稱書生, 位與調府史同. 史四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동시전: 지증왕 9년에 설치하였다. 감이 2명인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2명의 대사를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주사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2명의 서생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사직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서생이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와 동일하다. 사는 4명을 두었다.

○西市典, <孝昭王{孝照王}>?四年置. 監二人,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事, 後復稱大舍. 書生二人, <景德王>改爲司直, 後復稱書生. 史四人.

趙炳舜. 新羅皇福寺石塔金銅舍利函銘.

서시전: 효소왕 4년에 설치하였다. 여기에는 감 2명, 대사 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대사라는 명칭을 주사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2명의 서생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사직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서생이라 하였다. 사는 4명을 두었다.

○南市典, 亦<孝昭王>四年置. 監二人,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事, 後復稱大舍. 書生二人, <景德王>改爲司直, 後復稱書生. 史四人.

남시전: 효소왕 4년에 설치하였다. 감 2명, 대사 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대사를 주사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2명의 서생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사직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서생이라 하였다. 사는 4명을 두었다.

○司範署, 屬禮部. 大舍二人[或云主書.], <景德王>改爲主事, 後復稱大舍, 位與調府舍知同. 史四人.

사범서: 예부에 속하였다. 대사[혹은 주서라고 한다.] 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주사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지와 동일하다. 사는 4명을 두었다.

○京都驛, <景德王>改爲都亭驛, 後復故. 大舍二人,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二人.

경도역: 경덕왕 때 도정역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대사 2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 2명을 두었다.

○漏刻典, <聖德王>十七年始置. 博士六人, 史一人.

누각전: 성덕왕 17년에 설치하였는데 박사 6명, 사 1명을 두었다.

○六部少監典[一云六部監典.], 梁部·沙梁部, 監郞各一人, 大奈麻各一人, 大舍各二人, 舍知各一人. 梁部, 史六人, 沙梁部, 史五人; 本彼部, 監郞一人, 監大舍一人, 舍知一人, 監幢五人, 史一人; 牟梁部, 監臣一人, 大舍一人, 舍知一人, 監幢五人, 史一人; 漢祗部·習比部, 監臣各一人, 大舍各一人, 舍知各一人, 監幢各三人, 史各一人.

6부소감전[6부감전이라고도 한다.]: 양부와 사량부에 감랑 각 1명, 대나마 각 1명, 대사 각 2명, 사지 각 1명을 두었다. 양부에 사 6명, 사량부에 사 5명을 두었다. 본피부에 감랑 1명, 감대사 1명, 사지 1명, 감당 5명, 사 1명을 두었다. 모량부에 감신 1명, 대사 1명, 사지 1명, 감당 5명, 사는 1명을 두었다. 한기부와 습비부에 감신 각 1명, 대사 각 1명, 사지 각 1명, 감당 각 3명, 사는 각 1명을 두었다.

○食尺典, 大舍六人, 史六人.

식척전: 대사 6명, 사 6명을 두었다.

○直徒典, 大舍六人, 舍知八人, 史二十六人.

직도전: 대사 6명, 사지 8명, 사 26명을 두었다.

○古官家典, 幢[一云稽知.]四人, 鉤尺六人, 水主六人, 禾主十五人.

三國史記卷第三十八.

고관가전: 당[계지라고도 한다.] 4명, 구척 6명, 수주 6명, 화주 15명을 두었다.

삼국사기 권 제 38 끝


'부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사기 40권 잡지 제 9  (0) 2012.02.16
삼국사기 39권 잡지 제 8  (0) 2012.02.16
삼국사기 37권 잡지 제 6  (0) 2012.02.16
삼국사기 36권 잡지 제 5  (0) 2012.02.16
삼국사기 35권 잡지 제 4  (0) 201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