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國史記卷第三十九.
삼국사기 권 제 39
雜志第八.
職官中.
잡지 제 8.
관직 중.
○內省, <景德王>十八年, 改爲殿中省, 後復故. 私臣一人, <眞平王>七年, 三宮, 各置私臣. 大宮, 和文大阿瑗; 梁宮, 首?夫阿瑗; 沙梁宮, 弩知伊瑗. 至四十四年, 以一員兼掌三宮, 位自衿荷至太大角干, 惟其人則授之, 亦無年限. <景德王>又改爲殿中令, 後復稱私臣. 卿二人, 位自奈麻至阿瑗爲之. 監二人, 位自奈麻至沙瑗爲之. 大舍一人, 舍知一人.
○內司正典, <景德王>五年置. 十八年, 改爲建平省, 後復故. 議決一人, 貞察{員察}?二人, 史四人.
○典大舍典, 典大舍一人, 典翁一人, 史四人.
○上大舍典, 上大舍一人, 上翁一人.
○黑鎧監, <景德王>改爲衛武監, 後復故. 大舍一人, 史八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내성: 경덕왕 18년에 명칭을 전중성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사신 1명을 두었는데 진평왕 7년에는 세 궁에 각각 사신을 두었다. 대궁은 화문 대아찬, 양궁은 수힐부 아찬, 사량궁은 노지 사찬이 맡았다. 44년에 이르러 한 사람이 세 궁을 동시에 관리하게 하였다. 관등은 금하로부터 태대각간 중에서 적임자로 인정되면 이 벼슬을 주었으며, 임기 제한은 없었다.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전중령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신이라 하였다. 경 2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아찬까지이다. 감 2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사찬까지이다. 대사 1명, 사지 1명을 두었다.
내사정전: 경덕왕 5년에 설치하였다. 18년에 이 명칭을 건평성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의결 1명, 정찰 2명, 사 4명을 두었다.
전대사전: 전대사 1명, 전옹 1명, 사 4명을 두었다.
상대사전: 상대사 1명, 상옹 1명을 두었다.
흑개감: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위무감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대사 1명, 사 4명을 두었다.
○本彼宮, <神文王>元年置. 虞一人, 私母一人, 工翁{上翁}?二人, 典翁一人, 史二人.
○引道典, <景德王>改爲禮成典, 後復故. 上引道二人, □{黃?/下?}位引道三人, 官引道四人.
○村徒典, <文武王>十年置. (+?)?于{干}?一人, 宮翁一人, 大尺{火尺}?一人, 史二人.
○尻驛典, 看翁一人, 宮翁一人.
○平珍音典, <景德王>改爲?宮, 後復故. 看翁一人, 筵翁一人, 典翁二人.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李丙燾.趙炳舜. 『三國史節要』.李丙燾. 今西龍.趙炳舜. 『三國史節要』.
본피궁: 신문왕 원년에 설치하였다. 우 1명, 사모 1명, 공옹 2명, 전옹 1명, 사 2명을 두었다.
인도전: 경덕왕 때 예성전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상인도 2명[원문 1자 결자]위인도 3명, 관인도 4명을 두었다.
촌도전: 문무왕 10년에 설치하였다. 간 1명, 궁옹 1명, 대척 1명, 사 2명을 두었다.
구역전: 간옹 1명, 궁옹 1명을 두었다.
평진음전: 경덕왕 때 명칭을 소궁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간옹 1명, 연옹 1명, 전옹 2명을 두었다.
○煙舍典, <聖德王>十七年置. 看翁一人.
○詳文師{詳文司}?, <聖德王>十三年, 改爲通文博士. <景德王>又改爲翰林, 後置學士.
○所內學生, <聖德王>二十年置.
○天文博士, 後改爲司天博士.
○醫學, <孝昭王{孝照王}>?元年初置. 敎授學生, 以『本草經』·『甲乙經』·『素問經』·『針經』·『脈經』·『明堂經』·『難經』爲之業. 博士二人.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新羅皇福寺石塔金銅舍利函銘.
연사전: 성덕왕 17년에 설치하였다. 간옹 1명을 두었다.
상문사: 성덕왕 13년에 명칭을 통문박사로 개칭하였고, 경덕왕 때 다시 한림으로 고쳤다. 뒤에 학사를 두었다.
소내학생: 성덕왕 20년에 설치하였다.
천문박사: 뒤에 사천박사로 개칭하였다.
의학: 효소왕 원년에 처음으로 설치하여 학생들을 가르쳤다. 교과 과정은 [본초경], [갑을경], [소문경], [침경], [맥경], [명당경], [난경]이었다. 박사 2명을 두었다.
○供奉乘師[闕].
○律令典, 博士六人.
○藪宮典, 大舍二人, 史二人.
○靑淵宮典, <景德王>改爲造秋亭, 後復故. 大舍二人, 史二人, 宮翁一人.
○夫泉宮典, 大舍二人, 史二人, 宮翁一人.
공봉 승사: [궐문]
율령전: 박사 6명을 두었다.
수궁전: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청연궁전: 경덕왕 때 조추정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대사 2명, 사 2명, 궁옹 1명을 두었다.
부천궁전: 대사 2명, 사 2명, 궁옹 1명을 두었다.
○且熱音宮典, 大舍二人, 史四人, 宮翁一人.
○坐山典, 大舍二人, 史三人, 宮翁一人.
○屛村宮典, <景德王>改爲玄龍亭, 後復故. 大舍二人, 史二人, 宮翁一人.
○北吐只宮典, 大舍二人, 史二人.
차열음궁전: 대사 2명, 사 4명, 궁옹 1명을 두었다.
좌산전: 대사 2명, 사 3명, 궁옹 1명을 두었다.
병촌궁전: 경덕왕 때 현룡정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대사 2명, 사 2명, 궁옹 1명을 두었다.
북토지궁전: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弘峴宮[已下五宮, 通謂之古奈宮]典, 大舍二人, 史二人.
○葛川宮典, 大舍二人, 史二人.
○善坪宮典, 大舍二人, 史二人.
○伊同宮典, 大舍二人, 史二人.
○平立宮典, 大舍二人, 史二人.
○明活典, <景暉王{神德王}>?二年置. 大舍一人, 看翁一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홍현궁[이하의 다섯 궁을 고나궁으로 통칭하였다.]전: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갈천궁전: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선평궁전: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이동궁전: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평립궁전: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명활전: 경휘왕 2년에 설치하였다. 대사 1명, 간옹 1명을 두었다.
○源谷羊典, <興德王>四年置. 大舍一人, 看翁一人.
○染谷典, 看翁一人.
○壁典, 看翁一人, 下典四人.
○澁園典, 看翁一人, 下典二人.
○豆?炭典{豆谷炭典}?, 看翁一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원곡양전: 흥덕왕 4년에 설치하였다. 대사 1명, 간옹 1명을 두었다.
염곡전: 간옹 1명을 두었다.
벽전: 간옹 1명, 하전 4명을 두었다.
척원전: 간옹 1명, 하전 2명을 두었다.
두화탄전: 간옹 1명을 두었다.
○少年監典, <景德王>改爲釣天省, 後復故. 大舍二人, 史二人.
○會宮典, <景德王>改爲北司設, 後復故. 宮翁一人, 助舍知四人.
○上新謀典, 大舍一人, 史二人.
○下新謀典, 大舍一人, 史二人.
○左新謀典, 大舍一人, 史二人.
소년감전: 경덕왕 때 조천성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회궁전: 경덕왕 때 북사설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궁옹 1명, 조사지 4명을 두었다.
상신모전: 대사 1명, 사 2명을 두었다.
하신모전: 대사 1명, 사 2명을 두었다.
좌신모전: 대사 1명, 사 2명을 두었다.
○右新謀典, 大舍一人, 史二人.
○租典, 大舍一人, 史一人.
○新園典, 大舍一人, 史一人.
○氷庫典, 大舍一人, 史一人.
○白川悴?典, 大舍一人, 史一人.
우신모전: 대사 1명, 사 2명을 두었다.
조전: 대사 1명, 사 1명을 두었다.
신원전: 대사 1명, 사 1명을 두었다.
빙고전: 대사 1명, 사 1명을 두었다.
백천목숙전: 대사 1명, 사 1명을 두었다.
○漢?悴?典, 大舍一人, 史一人.
○蚊川悴?典, 大舍一人, 史一人.
○本彼悴?典, 大舍一人, 史一人.
○陵色典, 大舍一人, 史一人.
○穢宮典, <景德王>改爲珍閣省, 後復故. 稚省十人, 宮翁一人, 助舍知四人, 從舍知二人.
한지목숙전: 대사 1명, 사 1명을 두었다.
문천목숙전: 대사 1명, 사 1명을 두었다.
본피목숙전: 대사 1명, 사 1명을 두었다.
능색전: 대사 1명, 사 1명을 두었다.
예궁전: 경덕왕 때 진각성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치성 10명, 궁옹 1명, 조사지 4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朝霞房, 母二十三人.
○染宮, 母十一人.
○疏典, 母六人.
○紅典, 母六人.
○蘇芳典, 母六人.
조하방: 모 23명을 두었다.
염궁: 모 11명을 두었다.
소전: 모 6명을 두었다.
홍전: 모 6명을 두었다.
소방전: 모 6명을 두었다.
○瑕染典, 母六人.
○漂典, 母十人.
○倭典, 已下十四官員數闕.
○錦典, <景德王>改爲織錦房, 後復故.
○鐵鍮典, <景德王>改爲築冶房, 後復故.
찬염전: 모 6명을 두었다.
표전: 모 10명을 두었다.
왜전: 이하 14개 부서의 인원 수는 빠져있다.
금전: 경덕왕 때 명칭을 직금방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철유전: 경덕왕 때 명칭을 축야방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寺典.
○漆典, <景德王>改爲飾器房, 後復故.
○毛典, <景德王>改爲聚?房, 後復故.
○皮典, <景德王>改爲?人房, 後復故.
○?典.
사전
칠전: 경덕왕 때 식기방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모전: 경덕왕 때 취췌방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피전: 경덕왕 때 포인방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추전
○皮打典, <景德王>改爲泰{?}?工房, 後復故.
○磨典, <景德王>改爲梓人房, 後復故.
○?典.
○靴典.
○打典.
○麻履典.
『북한본』.
피타전: 경덕왕 때 운공방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마전: 경덕왕 때 재인방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답전
화전
타전
마리전
○御龍省, 私臣一人, <哀莊王>二年置. 御伯郞二人, <景德王>九年改爲奉御. <宣德王>元年, 又改爲卿, 尋改爲監. (+置)?稚省十四人.
○洗宅, <景德王>改爲中事省, 後復故. 大舍八人, 從舍知二人.
○崇文臺, 郞二人, 史四人, 從舍知二人.
○嶽典, 大舍二人, 史四人, 從舍知二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어룡성: 사신 1명을 애장왕 2년에 두었다. 2명의 어백랑을 두었는데 경덕왕 9년에 명칭을 봉어로 고쳤다가 선덕왕 원년에 경으로 고쳤고, 얼마 후에 감으로 개칭하였다. 치성 14명을 두었다.
세택: 경덕왕 때 중사성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대사 8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숭문대: 낭 2명, 사 4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악전: 대사 2명, 사 4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監典, 大舍二人, 舍知二人, 史四人, 都官四人, 從舍知二人, 樂子無定數.
○弟典, <景德王>改爲天祿司, 後復故. 大舍二人, 舍知二人, 史八人, 弟翁四人, 從舍知二人.
○春典{沃典}?, 舍知二人, 史八人.
○祭典, 舍知二人, 史六人.
○藥典, <景德王>改爲保命司, 後復故. 舍知二人, 史六人, 從舍知二人.
李丙燾.
[북한본].
감전: 대사 2명, 사지 2명, 사 4명, 도관 4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악자는 정해진 수가 없었다.
늠전: 경덕왕 때 명칭을 천록사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대사 2명, 사지 2명, 사 8명, 늠옹 4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용전: 사지 2명, 사 8명을 두었다.
제전: 사지 2명, 사 6명을 두었다.
약전: 경덕왕 때 보명사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사지 2명, 사 6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供奉醫師, 無定數.
○供奉卜師, 無定數.
○麻典, <景德王>十八年, 改爲織紡局, 後復故. 于{干}?一人, 史八人, 從舍知四人.
○曝典, 屬縣三.
○肉典, <景德王>改爲尙膳局, 後復故. 于{干}?二人.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공봉의사: 일정한 수가 없었다.
공봉복사: 일정한 수가 없었다.
마전: 경덕왕 18년에 명칭을 직방국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간 1명, 사 8명, 종사지 4명을 두었다.
폭전: 이에 속한 현이 셋이었다.
육전: 경덕왕 때 명칭을 상선국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간 2명을 두었다.
○滓典, 干一人, 史四人.
○阿尼典, 母六人.
○綺典, <景德王>改爲別錦房, 後復故. 母八人.
○席典, <景德王>改爲奉座局, 後復故. 于{干}?一人, 史二人.
○机槪典, <景德王>改爲机盤局, 後復故. 于{干}?一人, 史六人.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재전: 간 1명, 사 4명이다.
아니전: 모 6명을 두었다.
기전: 경덕왕 때 명칭을 별금방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모 8명을 두었다.
석전: 경덕왕 때 명칭을 봉좌국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간 1명, 사 2명을 두었다.
궤개전: 경덕왕 때 명칭을 궤반국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간 1명, 사 6명을 두었다.
○楊典, <景德王>改爲司?局, 後復故. 于{干}?一人, 史六人.
○瓦器典, <景德王>改爲陶登局, 後復故. 干一人, 史六人.
○監夫大典, 大舍二人, 史二人, 從舍知二人.
○大傅典, 大舍二人, 史二人, 從舍知二人.
○行軍典, 大舍二人, 史四人, 從舍知二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양전: 경덕왕 때 명칭을 사비국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간 1명, 사 6명을 두었다.
와기전: 경덕왕 때 명칭을 도등국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간 1명, 사 6명을 두었다.
감부대전: 대사 2명, 사 2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대부전: 대사 2명, 사 2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행군전: 대사 2명, 사 4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永昌典, 大舍二人, 史二人.
○古昌典, 大舍二人, 史四人.
○番監, 大舍二人, 史二人.
○願堂典, 大舍二人, 從舍知二人.
○物藏典, 大舍四人, 史二人.
영창전: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고창전: 대사 2명, 사 4명을 두었다.
번감: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원당전: 대사 2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물장전: 대사 4명, 사 2명을 두었다.
○北廂典, 大舍二人, 史四人.
○南下所宮, <景德王>改爲雜工司, 後復故. 翁一人, 助四人.
○南桃園宮, 翁一人.
○北園宮, 翁一人.
○新靑淵宮, 翁一人.
북상전: 대사 2명, 사 4명을 두었다.
남하소궁: 경덕왕 때 명칭을 잡공사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옹 1명, 조 4명을 두었다.
남도원궁: 옹 1명을 두었다.
북원궁: 옹 1명을 두었다.
신청연궁: 옹 1명을 두었다.
○針房, 女子十六人.
○東宮官.
○東宮衙, <景德王>十一年置. 上大舍一人, 次大舍一人.
○御龍省, 大舍二人, 稚省六人.
○洗宅, 大舍四人, 從舍知二人.
침방: 여자 16명을 두었다.
동궁관
동궁아: 경덕왕 11년에 설치하였다. 상대사 1명, 차대사 1명을 두었다.
어룡성: 대사 2명, 치성 6명을 두었다.
세택: 대사 4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給帳典[一云□典.], 典四人, 稚四人.
○月池典[闕].
○僧房典, 大舍二人, 從舍知二人.
○?典, 大舍二人, 史二人, 從舍知二人.
○月池嶽典, 大舍二人, 水主一人.
급장전[(원문 1자 결자)전이라고도 한다.]: 전 4명, 치 4명을 두었다.
월지전: 궐문
승방전: 대사 2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포전: 대사 2명, 사 2명, 종사지 2명을 두었다.
월지악전: 대사 2명, 수주 1명을 두었다.
○龍王典{龍主典}?, 大舍二人, 史二人.
三國史記卷第三十九.
趙炳舜. 『三國史節要』.
용왕전: 대사 2명, 사 2명을 두었다.
삼국사기 권 제 39 끝
'부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사기 41권 열전 제 1 (0) | 2012.02.17 |
---|---|
삼국사기 40권 잡지 제 9 (0) | 2012.02.16 |
삼국사기 38권 잡지 제 7 (0) | 2012.02.16 |
삼국사기 37권 잡지 제 6 (0) | 2012.02.16 |
삼국사기 36권 잡지 제 5 (0) | 201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