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國史記卷第四十.
삼국사기 권 제 40
雜志第九.
職官下.
잡지 제 9.
관직 하.
武官.
무관
○侍衛府, 有三徒, <眞德王>五年置. 將軍六人, <神文王>元年, 罷監置將軍, 位自級瑗至阿瑗爲之. 大監六人, 位自奈麻至阿瑗爲之. 隊頭十五人, 位自舍知至沙瑗爲之. 項三十六人,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卒百十七人, 位自先沮知至大舍爲之.
시위부: 삼도가 있었는데 진덕왕 5년에 설치하였다. 장군은 6명이니, 신문왕 원년에 감을 폐지하고 장군을 둔 것이다.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아찬까지이다. 대감은 6명인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아찬까지이다. 대두가 15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사찬까지이다. 항이 36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졸은 117명인데 관등은 선저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諸軍官, 將軍共三十六人, 掌大幢四人, 貴幢四人. <漢山>停[<羅>人謂營爲停.]三人, <完山>停三人, <河西>□□{停十}?二人, <牛首>停二人, 位自眞骨上堂至上臣爲之. 綠衿幢二人, 紫衿幢二人, 白衿幢二人, 緋衿幢二人, 黃衿幢二人, 黑衿幢二人, 碧衿幢二人, 赤衿幢二人, 靑衿幢二人, 位自眞骨級瑗至角干爲之. 至<景德王>時, <熊川州>停加置三人.
趙炳舜. 『三國史節要』.
제군관: 장군은 모두 36명이다. 대당을 맡은 장군이 4명, 귀당을 맡은 장군이 4명, 한산정[신라 사람은 군영을 정이라 하였다.]에 3명, 완산정에 3명, 하서정에 2명, 우수정에 2명이다. 관등은 진골 상당으로부터 상신까지이다. 녹금당에 2명, 자금당에 2명, 백금당에 2명, 비금당에 2명, 황금당에 2명, 흑금당에 2명, 벽금당에 2명, 적금당에 2명, 청금당에 2명이다. 관등은 진골 급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경덕왕 때에 웅천주정에 3명을 더 두었다.
○大官大監, <眞興王>十年置. 掌大幢五人, 貴幢五人, <漢山>停四人, <牛首>停四人, <河西>停四人, <完山>停四人, 無衿. 綠衿幢四人, 紫衿幢四人, 白衿幢四人, 緋衿幢四人, 黃衿幢四人, 黑衿幢四人, 碧衿幢四人, 赤衿幢四人, 靑衿幢四人, 共六十二人, 着衿. (-眞骨)?, 位自舍知至阿瑗爲之. 次品自奈麻至四重阿瑗爲之.
李丙燾.
대관대감: 진흥왕 10년에 설치하였다. 여기에는 대당을 맡은 대관대감이 5명, 귀당을 맡은 대관대감이 5명, 한산정에 (대관대감이) 4명, 우수정에 4명, 하서정에 4명, 완산정에 4명인데 무금이고, 녹금당에 4명, 자금당에 4명, 백금당에 4명, 비금당에 4명, 황금당에 4명, 흑금당에 4명, 벽금당에 4명, 적금당에 4명, 청금당에 4명으로써 모두 62명이 착금하였다. (진골은) 관등은 사지로부터 아찬까지이고, 차품은 나마로부터 사중아찬까지이다.
○隊大監, 領馬兵, 喬衿一人, <音里火>停一人, <古良夫里>停一人, <居斯勿>停一人, <參良火>停一人, <召參>停一人, <未多夫里>停一人, <南川>停一人, <骨乃斤>停一人, <伐力川>停一人, <伊火兮>停一人. 綠衿幢三人, 紫衿幢三人, 白衿幢三人, 黃衿幢三人, 黑衿幢三人, 碧衿幢三人, 赤衿幢三人, 靑衿幢三人. <菁州>誓一人, <漢山州>誓一人, <完山州>誓一人. 領步兵, 大幢三人, <漢山>停三人, 貴幢二人, <牛首>停二人, <完山>停二人, 碧衿幢二人, 綠衿幢二人, 白衿幢二人, 黃衿幢二人, 黑衿幢二人, 紫衿幢二人, 赤衿幢二人, 靑衿幢二人, 緋衿幢四人, 共七十人. ?着衿, 位自奈麻至阿瑗爲之.
제대감: 마병을 영솔하는 자는 계금에 1명, 음리화정에 1명, 고량부리정에 1명, 거사물정에 1명, 삼량화정에 1명, 소삼정에 1명, 미다부리정에 1명, 남천정에 1명, 골내근정에 1명, 벌력천정에 1명, 이화혜정에 1명, 녹금당에 3명, 자금당에 3명, 백금당에 3명, 황금당에 3명, 흑금당에 3명, 벽금당에 3명, 적금당에 3명, 청금당에 3명, 청주서에 1명, 한산주서에 1명, 완산주서에 1명을 두었다. 보병을 영솔하는 자는 대당에 3명, 한산정에 3명, 귀당에 2명, 우수정에 2명, 완산정에 2명, 벽금당에 2명, 녹금당에 2명, 백금당에 2명, 황금당에 2명, 흑금당에 2명, 자금당에 2명, 적금당에 2명, 청금당에 2명, 비금당에 4명을 두었으니, 전부 70명으로서 모두 착금하였다. 관등은 나마로부터 아찬까지이다.
○弟監, <眞興王>二十三年置. 領大幢五人, 貴幢五人, <漢山>停四人, <牛首>停四人, <河西>停四人, <完山>停四人, 無衿. 碧衿幢四人, 綠衿幢四人, 白衿幢四人, 緋衿幢四人, 黃衿幢四人, 黑衿幢四人, 紫衿幢四人, 赤衿幢四人, 靑衿幢四人, 喬衿一人, 共六十三人.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제감: 진흥왕 23년에 설치하였다. 영대당에 5명, 귀당에 5명, 한산정에 4명, 우수정에 4명, 하서정에 4명, 완산정에 4명이니 이들은 모두 무금이다. 벽금당에 4명, 녹금당에 4명, 백금당에 4명, 비금당에 4명, 황금당에 4명, 흑금당에 4명, 자금당에 4명, 적금당에 4명, 청금당에 4명, 계금에 1명이니 이들은 전부 63명으로서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監舍知, 共十九人, <法興王>十年置. 大幢一人, <上州>停一人, <漢山>停一人, <牛首>停一人, <河西>停一人, <完山>停一人, 碧衿幢一人, 綠衿幢一人, 白衿幢一人, 緋衿幢一人, 黃衿幢一人, 黑衿幢一人, 紫衿幢一人, 赤衿幢一人, 靑衿幢一人, 喬衿幢一人, 白衿武幢一人, 赤衿武幢一人, 黃衿武幢一人, 無衿. 位自舍知至大舍爲之.
감사지: 전부 19명인데 법흥왕 10년에 설치하였다. 대당에 1명, 상주정에 1명, 한산정에 1명, 우수정에 1명, 하서정에 1명, 완산정에 1명, 벽금당에 1명, 녹금당에 1명, 백금당에 1명, 비금당에 1명, 황금당에 1명, 흑금당에 1명, 자금당에 1명, 적금당에 1명, 청금당에 1명, 계금당에 1명, 백금무당에 1명, 적금무당에 1명, 황금무당에 1명이니, 이들은 무금이었고,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少監, <眞興王>二十三年置. 大幢十五人, 貴幢十五人, <漢山>停十五人, <河西>□{停}?□{十}?二人, <牛首>停十三人, <完山>停十三人, 碧衿幢十三人, 綠衿幢十三人, 白衿幢十三人, 緋衿幢十三人, 黃衿幢十三人, 黑衿幢十三人, 紫衿幢十三人, 赤衿幢十三人, 靑衿幢十三人. 領騎兵: 音里火停二人, <古良夫里{古良夫里}>?停二人, <居斯勿>停二人, <參良火>停二人, <召參>停二人, <未多夫里>停二人, <南川>停二人, <骨乃斤>停二人, <伐力川>停二人, <伊火兮>停二人. 緋衿幢三人, 碧衿幢六人, 綠衿幢六人, 白衿幢六人, 黃衿幢六人, 黑衿幢六人, 紫衿幢六人, 赤衿幢六人, 靑衿幢六人, 喬衿幢(+幢)?一{六}?人, <菁州>誓三人, <漢山州>誓三人, <完山州>誓三人. 領步兵: 大幢六人, <漢山>停六人, 貴幢四人, <牛首>停四人, <完山>停四人, 碧衿幢四人, 綠衿幢四人, 白衿幢四人, 黃衿幢四人, 黑衿幢四人, 紫衿幢四人, 赤衿幢四人, 靑衿幢四人, 緋衿幢八人, <菁州>誓九人, <漢山州>誓九人, <完山州>誓九人, 共三百七十二人. 六停無衿, 此外皆着衿. 位自大舍已下爲之.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今西龍.趙炳舜. 『三國史節要』.
소감: 진흥왕 23년에 설치하였다. 대당에 15명, 귀당에 15명, 한산정에 15명, 하서정에 12명, 우수정에 13명, 완산정에 13명, 벽금당에 13명, 녹금당에 13명, 백금당에 13명, 비금당에 13명, 황금당에 13명, 흑금당에 13명, 자금당에 13명, 적금당에 13명, 청금당에 13명을 두었다. 기병을 영솔하는 소감은 음리화정에 2명, 고량부리정에 2명, 거사물정에 2명, 삼량화정에 2명, 소삼정에 2명, 미다부리정에 2명, 남천정에 2명, 골내근정에 2명, 벌력천정에 2명, 이화혜정에 2명, 비금당에 3명, 벽금당에 6명, 녹금당에 6명, 백금당에 6명, 황금당에 6명, 흑금당에 6명, 자금당에 6명, 적금당에 6명, 청금당에 6명, 계금당에 1명, 청주서에 3명, 한산주서에 3명, 완산주서에 3명을 두었다. 보병을 영솔하는 소감은 대당에 6명, 한산정에 6명, 귀당에 4명, 우수정에 4명, 완산정에 4명, 벽금당에 4명, 녹금당에 4명, 백금당에 4명, 황금당에 4명, 흑금당에 4명, 자금당에 4명, 적금당에 4명, 청금당에 4명, 비금당에 8명, 청주서에 9명, 한산주서에 9명, 완산주서에 9명이었다. 이들은 모두 372명으로서 여섯 정에는 무금이며, 이 이외에는 모두 착금하였다. 관등은 대사로부터 그 이하까지이다.
○火尺, 大幢十五人, 貴幢十人, <漢山>停十人, <牛首>停十人, <河西>停十人, <完山>停十人, 綠衿幢十人, 緋衿幢十人, 紫衿幢十人, 白衿幢十三人, 黃衿幢十三人, 黑衿幢十三人, 碧衿幢十三人, 赤衿幢十三人, 靑衿幢十三人, 屬大官. 喬衿七人, <音里火>停二人, <古良夫里>停二人, <居斯勿>停二人, <參良火>停二人, <召參>停二人, <未多夫里>停二人, <南川>停二人, <骨乃斤>停二人, <伐力川>停二人, <伊火兮>停二人, 碧衿幢六人, 綠衿幢六人, 白衿幢六人, 黃衿幢六人, 黑衿幢六人, 紫衿幢六人, 赤衿幢六人, 靑衿幢六人, <菁州>誓二人, <漢山州>誓二人, <完山州>誓二人, 領騎兵. 大幢六人, <漢山>停六人, 貴幢四人, <牛首>停四人, <完山>停四人, 碧衿幢四人, 綠衿幢四人, 白衿幢四人, 黃衿幢四人. 黑衿幢四人, 紫衿幢四人, 赤衿幢四人, 靑衿幢四人, 緋衿幢八人, 白衿武幢八人, 赤衿武幢八人, 黃衿武幢八人, 領步兵. 共三百四十二人, 位與少監同.
화척: 대당에 15명, 귀당에 10명, 한산정에 10명, 우수정에 10명, 하서정에 10명, 완산정에 10명, 녹금당에 10명, 비금당에 10명, 자금당에 10명, 백금당에 13명, 황금당에 13명, 흑금당에 13명, 벽금당에 13명, 적금당에 13명, 청금당에 13명이니 이들은 대관에 속하였으며, 계금에 7명, 음리화정에 2명, 고량부리정에 2명, 거사물정에 2명, 삼량화정에 2명, 소삼정에 2명, 미다부리정에 2명, 남천정에 2명, 골내근정에 2명, 벌력천정에 2명, 이화혜정에 2명, 벽금당에 6명, 녹금당에 6명, 백금당에 6명, 황금당에 6명, 흑금당에 6명, 자금당에 6명, 적금당에 6명, 청금당에 6명, 청주서에 2명, 한산주서에 2명, 완산주서에 2명을 두었다. 이들은 기병을 영솔하였다. 대당에 6명, 한산정에 6명, 귀당에 4명, 우수정에 4명, 완산정에 4명, 벽금당에 4명, 녹금당에 4명, 백금당에 4명, 황금당에 4명, 흑금당에 4명, 자금당에 4명, 적금당에 4명, 청금당에 4명, 비금당에 8명, 백금무당에 8명, 적금무당에 8명, 황금무당에 8명이니 이들은 보병을 영솔하였다. 이들은 모두 342명으로서 관등은 소감과 동일하다.
○軍師幢王{幢主}?, <法興王>十一年置. 王都一人, 無衿. 大幢一人, <上州>停一人, <漢山>停一人, <牛首>停一人, <河西>停一人, <完山>停一人, 碧衿幢一人, 綠衿幢一人, 緋衿幢一人, 白衿幢一人, 黃衿幢一人, 黑衿幢一人, 紫衿幢一人, 赤衿幢一人, 靑衿幢一人, 白衿武幢一人, 赤衿武幢一人, 黃衿武幢一人, 共十九人, 著衿. 位自奈麻至一吉瑗爲之.
趙炳舜. 『三國史節要』.
군사당주: 법흥왕 11년에 설치하였다. 서울에 1명을 두었으니, 무금이고, 대당에 1명, 상주정에 1명, 한산정에 1명, 우수정에 1명, 하서정에 1명, 완산정에 1명, 벽금당에 1명, 녹금당에 1명, 비금당에 1명, 백금당에 1명, 황금당에 1명, 흑금당에 1명, 자금당에 1명, 적금당에 1명, 청금당에 1명, 백금무당에 1명, 적금무당에 1명, 황금무당에 1명을 두었으니, 이들은 모두 19명으로서 착금하였다. 관등은 나마로부터 일길찬까지이다.
○六{大}?匠尺幢主, 大幢一人, <上州>停一人, <?山{漢山}>?停一人, <牛首>停一人, <河西>停一人, <完山>停一人, 碧衿幢一人, 綠衿幢一人, 緋衿幢一人, 白衿幢一人, 黃衿幢一人, 黑衿幢一人, 紫衿幢一人, 赤衿幢一人, 靑衿幢一人, 共十五人, 無衿. 位與軍師幢主同.
趙炳舜. 『三國史節要』.『북한본』.
대장척당주: 대당에 1명, 상주정에 1명, 한산정에 1명, 우수정에 1명, 하서정에 1명, 완산정에 1명, 벽금당에 1명, 녹금당에 1명, 비금당에 1명, 백금당에 1명, 황금당에 1명, 흑금당에 1명, 자금당에 1명, 적금당에 1명, 청금당에 1명을 두었으니, 모두 15명으로서 무금이었다. 관등은 군사당주와 동일하다.
○步騎幢主, 王都一人, 無衿. 大幢六人, <漢山>六人, 貴幢四人, <牛首州>四人, <完山州>四人, 碧衿幢四人, 綠衿幢四人, 白衿幢四人, 黃衿幢四人, 黑衿幢四人, 紫衿幢四人, 赤衿幢四人, 靑衿幢四人, 白衿武幢二人, 赤衿武幢二人, 黃衿武幢一{二}?人, 共六十三人, 位自奈麻至沙瑗爲之.
趙炳舜. 『三國史節要』.
보기당주: 서울에 1명을 두었으니 무금이었다. 대당에 6명, 한산에 6명, 귀당에 4명, 우수주에 4명, 완산주에 4명, 벽금당에 4명, 녹금당에 4명, 백금당에 4명, 황금당에 4명, 흑금당에 4명, 자금당에 4명, 적금당에 4명, 청금당에 4명, 백금무당에 2명, 적금무당에 2명, 황금무당에 1명을 두었으니 모두 63명이다. 관등은 나마로부터 사찬까지이다.
○三千幢主, <音里水{音里火}>?停六人, <古良夫里>停六人, <居斯勿>停六人, <參良火>停六人, <召參>停六人, <未多夫里>停六人, <南州{南川}>?停六人, <骨乃斤>停六人, <伐力川>停六人, <伊伐兮>停六人, 共六十人, 著衿. 位自舍知至沙瑗爲之.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삼천당주: 음리화정에 6명, 고량부리정에 6명, 거사물정에 6명, 삼량화정에 6명, 소삼정에 6명, 미다부리정에 6명, 남천정에 6명, 골내근정에 6명, 벌력천정에 6명, 이벌혜정에 6명을 두었으니 전부 60명으로서 착금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사찬까지이다.
○著衿騎幢主, 碧衿幢十八人, 綠衿幢十八人, 白衿幢十八人, 黃衿幢十八人, 黑衿幢十八人, 紫衿幢十八人, 赤衿幢十八人, 靑衿幢十八人, 喬桶{衿}?(+幢)?六人, <菁州>六人, <完山州>六人, <漢山州>六人, <河西州>四人, <牛首>幢三人, 四千幢三人, 共一百七十八人, 位與三千幢主同.
趙炳舜. 『三國史節要』.『북한본』.
착금기병당주: 벽금당에 18명, 녹금당에 18명, 백금당에 18명, 황금당에 18명, 흑금당에 18명, 자금당에 18명, 적금당에 18명, 청금당에 18명, 계금당에 6명, 청주에 6명, 완산주에 6명, 한산주에 6명, 하서주에 4명, 우수당에 3명, 사천당에 3명을 두었으니 모두 178명으로서 관등은 삼천당주와 동일하다.
○緋衿幢主, 四十人, <沙伐州>三人, <?良州>三人, <菁州>三人, <漢山州>二人, <牛首州>六人, <河西州>六人, <熊川州>五人, <完山州>四人, <武珍州>八人, 共四十人, 著衿. 位自舍知至沙瑗爲之.
비금당주: 모두 40명이다. 사벌주에 3명, 삽량주에 3명, 청주에 3명, 한산주에 2명, 우수주에 6명, 하서주에 6명, 웅천주에 5명, 완산주에 4명, 무진주에 8명이니 모두 40명으로서 착금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사찬까지이다.
○師子衿幢主, 王都三人, <沙伐州>三人, <?良州>三人, <菁州>三人, <漢山州>三人, <牛首州>三人, <河西州>三人, <熊川州>三人, <完山州>三人, <武珍州>三人, 共三十人, 著桶{衿}?. 位自舍知至一吉瑗爲之.
趙炳舜. 『三國史節要』.
사자금당주: 서울에 3명, 사벌주에 3명, 삽량주에 3명, 청주에 3명, 한산주에 3명, 우수주에 3명, 하서주에 3명, 웅천주에 3명, 완산주에 3명, 무진주에 3명이니 전부 30명으로서 착금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일길찬까지이다.
○法幢主, 百官幢主三十人, 京餘甲幢主十五人, 小京餘甲幢主十六人, 外餘甲幢主五十二人, 弩幢主十五人, 雲梯幢主六人, 衝幢主十二人, 石投幢主十二人, 共一百五十八人, 無衿.
법당주: 백관당주가 30명, 경여갑 당주가 15명, 소경여갑 당주가 16명, 외경여갑 당주가 52명, 노당주가 15명, 운제당주가 6명, 충당주가 12명, 석투당주가 12명이니 모두 158명으로서 무금이다.
○黑衣長槍末步幢主, 大幢三十人, 貴幢二十二人, <漢山>二十八人, <牛首>二十人, <完山>二十人, 紫衿二十人, 黃衿二十人, 黑衿二十人, 碧衿二十人, 赤衿二十人, 靑衿二十人, 綠衿二十四人, 共二百六十四人, 位自舍知至級瑗爲之.
흑의장창말보당주: 대당에 30명, 귀당에 22명, 한산에 28명, 우수에 20명, 완산에 20명, 자금에 20명, 황금에 20명, 흑금에 20명, 벽금에 20명, 적금에 20명, 청금에 20명, 녹금에 24명이니 전부 264명으로서 관등은 사지로부터 급찬까지이다.
○三武幢主, 白衿武幢十六人, 赤衿武幢十六人, 黃衿武幢十六人, 共四十八人, 位與末步幢主同.
삼무당주: 백금무당에 16명, 적금무당에 16명, 황금무당에 16명이니 전부 48명으로서 관등은 말보당주와 동일하다.
○萬步幢主, 京五種幢主十五人, 節末幢主四人, 九州萬步幢主十八人, 共三十七人, 無衿.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만보당주: 경오종당주가 15명, 절말당주가 4명, 구주만보당주가 18명이니 전부 37명으로서 무금이이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軍師監, 王都二人, 無衿. 大幢二人, <上州>停二人, <漢山>停二人, <牛首>停二人, <河西>停二人, <完山>停二人, 碧衿幢二人, 綠衿幢二人, 緋衿幢二人, 白衿幢二人, 黃衿幢二人, 黑衿幢二人, 紫衿幢二人, 赤衿幢二人, 靑衿幢二人, 共三十二人, 著衿. 位自舍知至奈麻爲之.
군사감: 서울에 2명을 두었으니 무금이고, 대당에 2명, 상주정에 2명, 한산정에 2명, 우수정에 2명, 하서정에 2명, 완산정에 2명, 벽금당에 2명, 녹금당에 2명, 비금당에 2명, 백금당에 2명, 황금당에 2명, 흑금당에 2명, 자금당에 2명, 적금당에 2명, 청금당에 2명이니 전부 32명으로서 착금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大匠大{尺}?監, 大幢一人, <上州>停一人, <漢山>停一人, <牛首>停一人, <河西>停一人, <完山>停一人, 碧衿幢一人, 綠衿幢一人, 緋衿幢一人, 白衿幢一人, 黃衿幢一人, 黑衿幢一人, 紫衿幢一人, 赤衿幢一人, 靑衿幢一人, 共十五人, 無衿.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趙炳舜. 『三國史節要』.
대장대감: 대당에 1명, 상주정에 1명, 한산정에 1명, 우수정에 1명, 하서정에 1명, 완산정에 1명, 벽금당에 1명, 녹금당에 1명, 비금당에 1명, 백금당에 1명, 황금당에 1명, 흑금당에 1명, 자금당에 1명, 적금당에 1명, 청금당에 1명을 두었으니 전부 15명으로서 무금이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步騎監, 六十三人, 王都一人, 大幢六人, <漢山>六人, 貴幢四人, <牛首>四人, <完山>四人, 碧衿幢四人, 綠衿幢四人, 白衿幢四人, 黃衿幢四人, 黑衿幢四人, 紫衿幢四人, 赤衿幢四人, 靑衿幢四人, 白衿武幢二人, 赤衿武幢二人, 黃衿武幢二人, 著衿. 共六十三人, 位與軍師監同.
보기감: 모두 63명이다. 서울에 1명, 대당에 6명, 한산에 6명, 귀당에 4명, 우수에 4명, 완산에 4명, 벽금당에 4명, 녹금당에 4명, 백금당에 4명, 황금당에 4명, 흑금당에 4명, 자금당에 4명, 적금당에 4명, 청금당에 4명, 백금무당에 2명, 적금무당에 2명, 황금무당에 2명이니 착금하였다. 전부 63명으로서 관등은 군사감과 동일하다.
○三千監, <音里水>停六人, <古良夫里>停六人, <居斯勿>停六人, <參良火>停六人, <召參>停六人, <未多夫里>停六人, <南川>停六人, <骨乃斤>停六人, <伐力川>停六人, <伊火兮>停六人, 共六十人, 著衿.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삼천감: 음리화정에 6명, 고량부리정에 6명, 거사물정에 6명, 삼량화정에 6명, 소삼정에 6명, 미다부리정에 6명, 남천정에 6명, 골내근정에 6명, 벌력천정에 6명, 이화혜정에 6명을 두었으니 전부 60명으로서 착금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師子衿幢監, 三十人, 位自幢至奈麻爲之.
사자금당감: 30명이다. 관등은 당으로부터 나마까지이다.
○法幢監, 百官幢三十人, 京餘甲幢十五人, 外餘甲幢六十八人, 石投幢十二人, 衝幢十二人, 弩幢四十五人, 雲梯幢十二人, 共一百九十四人, 無衿. 位自舍知至奈麻爲之.
법당감: 백관당이 30명, 경여갑당이 15명, 외여갑당이 68명, 석투당이 12명, 충당이 12명, 노당이 45명, 운제당이 12명이니 전부 194명으로서 무금이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緋衿監, 四十八人, 領幢四十人, 領馬兵八人.
비금감: 모두 48명으로서 영당이 40명, 영마병이 8명이다.
○著衿監, 碧衿幢十八人, 綠衿幢十八人, 白衿幢十八人, 黃衿幢十八人, 黑衿幢十八人, 紫衿幢十八人, 赤衿幢十八人, 靑衿幢十八人, 喬衿六人, <靑州>六人, <漢山>六人, <完山>六人, <河西>三人, <牛首>幢三人, 四子{千}?幢三人, 共一百七十五人, 位自幢至奈麻爲之.
趙炳舜. 『三國史節要』.
착금감: 벽금당에 18명, 녹금당에 18명, 백금당에 18명, 황금당에 18명, 흑금당에 18명, 자금당에 18명, 적금당에 18명, 청금당에 18명, 계금에 6명, 청주에 6명, 한산에 6명, 완산에 6명, 하서에 3명, 우수당에 3명, 사천당에 3명이니 전부 175명이다. 관등은 당으로부터 나마까지이다.
○皆知戟幢監, 四人, ?王都, 位自舍知至奈麻爲之.
개지극당감: 4명으로서 모두 서울에 있었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法幢頭上, 百九十二人, 餘甲幢四十五人, 外法幢百二人, 弩幢四十五人.
법당두상: 192명이니, 여갑당에 45명, 외법당에 102명, 노당에 45명을 두었다.
○法幢火尺, 軍師幢三十人, 師子衿幢二十人, 京餘甲幢十五人, 外餘甲幢百二人, 弩幢四十五人, 雲梯幢十一人, 衝幢十八人, 石投幢十八人, 共二百五十九人.
법당화척: 군사당에 30명, 사자금당에 20명, 경여갑당에 15명, 외여갑당에 102명, 노당에 45명, 운제당에 11명, 충당에 18명, 석투당에 18명이니 전부 259명을 두었다.
○法幢抗主, 餘甲幢四十五人, 外法幢三百六人, 弩幢百三十五人, 共四百八十六人.
법당벽주: 여갑당에 45명, 외법당에 306명, 노당에 135명이니 전부 486명을 두었다.
○三千卒, 百五十人, 位自大奈麻已下爲之.
삼천졸: 모두 150명이다. 관등은 대나마로부터 그 이하이다.
○凡軍號, 二十三. 一曰六停, 二曰九誓幢, 三曰十幢, 四曰五州誓, 五曰三武幢, 六曰喬衿幢, 七曰急幢, 八曰四千幢, 九曰京五種幢, 十曰二節末幢, 十一曰萬步幢, 十二曰大匠尺幢, 十三曰軍師幢, 十四曰仲幢, 十五曰百官幢, 十六曰四設幢, 十七曰皆知戟幢, 十八曰三十九餘甲幢, 十九曰仇七幢, 二十曰二喬, 二十一曰二弓, 二十二曰三邊守, 二十三曰新三千幢.
모든 군사의 칭호는 23종이었다. 1은 육정, 2는 구서당, 3은 십당, 4는 오주서, 5는 삼무당, 6은 계금당, 7은 급당, 8은 사천당, 9는 경오종당, 10은 이절말당, 11은 만보당, 12는 대장척당, 13은 군사당, 14는 중당, 15는 백관당, 16은 사설당, 17은 개지극당, 18은 삼십구여갑당, 19는 구칠당, 20은 이계, 21은 이궁, 22는 삼변수, 23은 신삼천당이라 한다.
○六停: 一曰大幢, <眞興王>五年始置, 衿色紫白; 二曰<上州>停, <眞興王>十三年置, 至<文武王>十三年, 改爲貴幢, 衿色靑赤; 三曰<漢山>停, 本<新州>停, <眞興王>二十九年, 罷<新州>停, 置<南川>停, <眞平王>二十六年, 罷<南川>停, 置<漢山>停, 衿色黃靑; 四曰<牛首>停, 本<比烈忽>停, <文武王>十三年, 罷<比烈忽>停, 置<牛首>停, 衿色綠白; 五曰<河西>停, 本<悉直>停, <太宗王>五年, 罷<悉直>停, 置<河西>停, 衿色綠白; 六曰<完山>停, 本<下州>停, <神文王>五年, 罷<下州>停, 置<完山>停, 衿色白紫.
육정: 1은 대당이라하여 진흥왕 5년에 처음으로 설치하였다. 띠의 색깔은 자백색이다. 2는 상주정으로서 진흥왕 13년에 설치하였다가 문무왕 13년에 귀당으로 고쳤는데 띠의 색깔은 청적색이다. 3은 한산정으로서 원래의 신주정이다. 진흥왕 29년에 신주정을 폐지하여 남천정을 설치하였다가 진평왕 26년에 남천정을 폐지하여 한산정을 설치하였는데 띠의 색깔은 황청색이다. 4는 우수정으로서 원래의 비열홀정이다. 문무왕 13년에 비열홀정을 폐지하여 우수정을 설치하였는데 띠의 색깔은 녹백색이다. 5는 하서정으로서 원래의 실직정이다. 태종왕 5년에 실직정을 폐지하여 하서정을 설치하였는데 띠의 색깔은 녹백색이다. 6은 완산정으로서 원래의 하주정이다. 신문왕 5년에 하주정을 폐지하여 완산정을 설치하였는데 띠의 색깔은 백자색이다.
○九誓幢: 一曰綠衿誓幢, <眞平王>五年始置, 但名誓幢, 三十五年, 改爲綠衿誓幢, 衿色綠紫; 二曰紫衿誓幢, <眞平王>四十七年, 始置郞幢, <文武王>十七年, 改爲紫衿誓幢, 衿色紫綠; 三曰白衿誓幢, <文武王>十二年, 以<百濟>民爲幢, 衿色白靑; 四曰緋衿誓幢, <文武王>十二年, 始置長槍幢, <孝昭王{孝照王}>?二年, 改爲緋衿誓幢; 五曰黃衿誓幢, <神文王>三年, 以<高句麗>民爲幢, 衿色黃赤; 六曰黑衿誓幢, <神文王>三年, 以<靺鞨國>民爲幢, 衿色黑赤; 七曰碧衿誓幢, <神文王>六年, 以<報德城>民爲幢, 衿色碧黃; 八曰赤衿誓幢, <神文王>六年, 又以<報德城>民爲幢, 衿色赤黑; 九曰靑衿誓幢, <神文王>七年, (+又)?以<百濟>殘民爲幢, 衿色靑白.
趙炳舜. 新羅皇福寺石塔金銅舍利函銘.趙炳舜. 『三國史節要』.
구서당: 1은 녹금서당으로서 진평왕 5년에 처음으로 설치하여 서당으로만 부르다가 35년에 녹금서당으로 고쳤는데 띠의 색깔은 녹자색이다. 2는 자금서당으로서 진평왕 47년에 처음으로 낭당을 설치하였다가 문무왕 17년에 자금서당으로 고쳤는데 띠의 색깔은 자녹색이다. 3은 백금서당으로서 문무왕 12년에 백제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띠의 색깔은 백청색이다. 4는 비금서당으로서 문무왕 12년에 처음으로 장창당을 설치하였다가 효소왕 2년에 비금서당으로 개칭한 것이다. 5는 황금서당으로서 신문왕 3년에 고구려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띠의 색깔은 황적색이다. 6은 흑금서당으로서 신문왕 3년에 말갈국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띠의 색깔은 흑적색이다. 7은 벽금서당으로서 신문왕 6년에 보덕성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띠의 색깔은 벽황색이다. 8은 적금서당으로서 신문왕 6년에 역시 보덕성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띠의 색깔은 적흑색이다. 9는 청금서당으로서 신문왕 7년에 백제의 남은 백성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띠의 색깔은 청백색이다.
○十停[或云三千幢.]: 一曰<音里火>停, 二曰<古良夫里>停, 三曰<居斯勿>停, 衿色靑; 四曰<參良火>停, 五曰<召參>停, 六曰<未多夫里>停, 衿色黑; 七曰<南川>停, 八曰<骨乃斤>停, 衿色黃; 九曰<伐力川>停, 十曰<伊火兮>停, 衿色綠. ?<眞興王>五年置.
십정[혹은 삼천당이라 한다.]: 1은 음리화정, 2는 고량부리정, 3은 거사물정이니 띠의 색깔은 청색이다. 4는 삼량화정, 5는 소삼정, 6은 미다부리정이니 띠의 색깔은 흑색이다. 7은 남천정, 8은 골내근정이니 띠의 색깔은 황색이다. 9는 벌력천정, 10은 이화혜정이니 띠의 색깔은 녹색이다. 모두 진흥왕 5년에 설치하였다.
○五州誓: 一曰<菁州>誓, 二曰<完山州>誓, 三曰<漢山州>誓, 衿色紫綠; 四曰<牛首州>誓, 五曰<河西州>誓, 衿色綠紫. ?<文武王>十二年置.
오주서: 1은 청주서, 2는 완산서, 3은 한산주서이니 띠의 색깔은 자녹색이다. 4는 우수주서, 5는 하서주서이니 띠의 색깔은 녹자색이다. 모두 문무왕 12년에 설치하였다.
○三武幢: 一曰白衿武幢, <文武王>十五年置; 二曰赤衿武幢, <神文王>七年置; 三曰黃衿武幢, 九年置.
삼무당: 1은 백금무당이니 문무왕 15년에 설치하였으며, 2는 적금무당이니 신문왕 7년에 설치하였으며, 3은 황금무당이니 신문왕 9년에 설치하였다.
○喬衿幢, <太宗王>元年置, 衿色喬.
계금당: 태종왕 원년에 설치하였고 띠는 계색이다.
○急幢, <眞平王>二十七年置, 衿色黃綠.
급당: 진평왕 27년에 설치하였고 띠는 황녹색이다.
○四千幢, <眞平王>十三年置, 衿色黃黑.
사천당: 진평왕 13년에 설치하였고 띠는 황흑색이다.
○京五種幢, 衿色, 一靑綠, 二赤紫, 三黃白, 四白黑, 五黑靑.
경오종당: 띠의 색깔이, 1은 청녹색, 2는 적자색, 3은 황백색, 4는 백흑색, 5는 흑청색이다.
○二節未{末}?幢, 衿色, 一綠紫, 二紫綠.
『북한본』.
이절말당: 띠의 색깔이, 1은 녹자색, 2는 자녹색이다.
○萬步幢, 九州各二. 衿色, <沙伐州>, 靑黃靑紫; <?良州>, 赤靑赤白; <菁州>, 赤黃赤綠; <漢山州>, 黃黑黃綠; <牛首州>, 黑綠黑白; <熊川州>, 黃紫黃靑; <河西州>, 靑黑靑赤; <武珍州>, 白赤白黃.
만보당: 9주에 각각 2개씩 있었다. 띠의 색깔이 사벌주는 청황색과 청자색, 삽량주는 적청색과 적백색, 청주는 적황색과 적녹색, 한산주는 황흑색과 황녹색, 우수주는 흑녹색과 흑백색, 웅천주는 황자색과 황청색, 하서주는 청흑색과 청적색, 무진주는 백적색과 백황색이다.
○大匠尺幢, 無衿.
대장척당: 띠는 없다.
○軍師幢, <眞平王>二十六年始置, 衿色白.
군사당: 진평왕 26년에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띠의 색깔은 백색이다.
○仲幢, <文武王>十一年始置, 衿色白.
중당: 문무왕 11년에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띠의 색깔은 백색이다.
○百官幢, 無衿.
백관당: 띠는 없다.
○四設幢: 一曰弩幢, 二曰雲梯幢, 三曰衝幢, 四曰石投幢, 無衿.
사설당: 1은 노당, 2는 운제당, 3은 충당, 4는 석투당이다. 띠는 없다.
○皆知戟幢, <神文王>十年始置, 衿色黑赤白.
개지극당: 신문왕 10년에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띠의 색깔은 흑색과 적색과 백색이다.
○三十九餘甲幢, 無衿[謂京餘甲·小京餘甲·外餘甲等也, 其數未詳.]
삼십구여갑당: 띠는 없다[경여갑, 소경여갑, 외여갑 등을 말한 것이나 그 수는 분명치 않다.]
○仇七幢, <文武王>十六年始置, 衿色白.
구칠당: 문무왕 16년에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띠의 색깔은 백색이다.
○二喬幢[或云外喬.]: 一曰<漢山州>喬幢, <太宗王>&十七{元}?年置; 二曰<牛首州>喬幢, <文武王>十二年置. 衿色皆喬.
趙炳舜. 『三國史節要』.
이계당[혹은 외계라 한다.]: 1은 한산주계당이니 태종왕 17년에 설치하였으며, 2는 우수주계당이니 문무왕 12년에 설치하였다. 띠는 모두 계색이다.
○二弓[或云外弓.]: 一曰<漢山州>弓尺, <眞德王>六年置; 二曰<河西州>弓尺, <眞平王>二十年置. 無衿.
이궁[혹은 외궁이라 한다.]: 1은 한산주 궁척이니 진덕왕 6년에 설치하였으며, 2는 하서주궁척이니 진평왕 20년에 설치하였다. 띠는 없다.
○三邊守幢[一云邊守.], <神文王>十年置: 一曰漢山邊, 二曰牛首邊, 三曰河西邊. 無衿.
삼변수당[변수라고도 한다.]: 신문왕 10년에 설치하였다. 1은 한산변, 2는 우수변, 3은 하서변이다. 띠는 없다.
○新三千幢[一云外三千.]: 一曰<牛首州>三千幢, 二曰<奈吐郡>三千幢, <文武王>十二年置, 三曰<奈生郡>三千幢, 十六年置. 衿色未詳.
신삼천당[외삼천이라고도 한다.]: 1은 우수주삼천당, 2는 나토군삼천당이니 문무왕 12년에 설치하였으며, 3은 나생군삼천당이니 문무왕 16년에 설치하였다. 띠의 색깔은 분명치 않다.
○衿, 蓋『書傳』所謂徽織. 『詩』云: "織文鳥章." 箋云: "織, 徽織也. 鳥章, 鳥集之文章. 將帥以下, 衣皆著焉." 『史記』·『漢書』, 謂之旗熾. 熾與織, 字異音同. 『周禮』司常九旗, 所畵異物者, 徽織, 所以相別. 在國以表朝位, 在軍又象其制而爲之, 被之以備死事. <羅>人徽織, 以靑赤等色爲別者, 其形象半月, 喬亦著於衣上, 其長短之制未詳.
금(衿)이란 대략 [좌전]에서 말하는 띠의 표식이다. [시경]에 "織文鳥章"이라 하였는데, 그 주석에 "織은 수를 놓아 짠 직물이며, 鳥章은 새나 새매의 무늬이니 장수 이하가 모두 옷에 그러한 무늬를 달았다."고 되어 있다. [사기]와 [한서]에는 기치(旗幟)라고 하였는데, 치(幟)와 직(織)은 글자는 다르지만 음은 동일하다. [주례] 사상조(司常條)의 아홉 가지 깃발에 그린 여러가지 물건은 각각의 상징을 나타낸 것인데, 이로써 각각의 소속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었다. 나라에 있어서는 조정의 지위를 표시하고, 군사에서는 그 조직을 상징한 것으로써 그것을 입고 전투에 대비하였다. 신라 사람은 띠를 청홍색으로 구분하였고, 모양은 반달의 형상을 취하였다. 계(喬)는 또한 옷에 다는 것인데, 그 길이의 장단에 대한 제도는 분명하지 않다.
○大將軍花, 三副, 長九寸, 廣三寸三分. 上將軍花, 四副, 長九寸五分. 下將軍花, 五副, 長一尺. 大監花, 大虎頰皮, 長九寸, 廣二寸五分, 鈴黃金, 圓一尺二寸. 弟監花, 熊頰皮, 長八寸五分, 鈴白銀, 圓九寸. 少監花, 鷲尾, 鈴白銅, 圓六寸. 火尺花, 與少監同, 鈴鐵, 圓二寸. 軍師幢主花, 大虎尾, 長一尺八寸. 軍師監花, 熊胸皮, 長八寸五分. 大匠尺幢主花, 熊臂皮, 長七寸[一云中虎額皮, 長八寸五分.], 鈴黃金, 圓九寸. 三千幢主花, 大虎尾, 長一尺八寸. 三千監花, 鷲尾. 諸著衿幢主花, 大虎尾, 長一尺八寸五分. 花以猛獸皮若鷲鳥羽作之, 置?上. 若所謂豹尾者, 今人謂之面槍. 將軍花, 不言物名. 其數或多或少, 其義未詳. 鈴, 行路置馱馬上, 或云鐸.
대장군화는 세 쪽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가 9치, 너비가 3치 3푼이다. 상장군화는 네 쪽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가 9치 5푼이다. 하장군화는 다섯 쪽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가 1자이다. 대감화는 큰 호랑이의 얼굴 가죽인데 길이가 9치, 너비가 2치 5푼이고 방울은 황금인데 둘레가 1자 2치이다. 제감화는 곰의 얼굴 가죽인데 길이가 8치 5푼, 방울은 백은인데 둘레가 9치이다. 소감화는 독수리 꼬리이고, 방울은 백동인데 둘레가 6치이다. 화척화는 소감과 같고 방울은 철인데 둘레가 2치이다. 군사당주화는 큰 호랑이의 꼬리인데 길이가 1자 8치이다. 군사감화는 곰의 가슴 가죽인데 길이가 8치 5푼이다. 대장척당주화는 곰의 어깨 가죽인데 길이가 7치[혹은 중 호랑이의 이마 가죽인데 길이가 8치 5푼이라고도 한다.]이고, 방울은 황금인데 둘레가 9치이다. 삼천당주화는 큰 호랑이의 꼬리인데 길이가 1자 8치이다. 삼천감화는 독수리 꼬리이다. 모든 착금당주화는 큰 호랑이의 꼬리인데 길이가 1자 8치 5푼이다. 화는 맹수의 가죽이나 독수리의 깃으로 만들어 깃대 위에 다는 것이니, 소위 표범의 꼬리 같은 것으로서, 지금 사람들은 면창이라고 한다. 장군화는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를 말하지 않았으며, 그 수도 혹은 많고 혹은 적은데 그 이유는 알 수가 없다. 령(鈴)은 길을 갈 때 말에 매다는 것인데 탁(鐸)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政官[或云政法典.], 始以大舍一人, 史二人爲司, 至<元聖王>元年, 初置僧官, 簡僧中有才行者, 充之, 有故則遞, 無定年限.
정관[혹은 정법전이라 한다.]: 처음에는 대사 1명과 사 2명으로 구성되었는데, 원성왕 원년에 처음으로 승관을 두고, 중 가운데에서 재주와 덕행이 있는 자를 선발하여 이에 충당하되, 사고가 있으면 교체하였고 근무기한은 정하지 않았다.
○國統{僧統}?, 一人[一云寺主.], <眞興王>十二年, 以<高句麗><惠亮>法師爲寺主. 都唯那娘一人, 阿尼大都唯那一人. <眞興王>始以<寶良>法師爲之, <眞德王>元年加一人. 大書省, 一人, <眞興王>以<安臧>法師爲之, <眞德王>元年, 加一人. 少年書省, 二人, <元聖王>三年, 以<惠英>·<梵如>二法師爲之.
趙炳舜. 『三國史記』 列傳, 『三國史節要』.
국통은 1명[사주라고도 한다.]이니, 진흥왕 12년에 고구려의 혜량법사를 사주로 삼았다. 도유나랑 1명, 아니대도유나 1명을 두었다. 진흥왕 때 처음으로 보량법사를 이에 임명하였다. 진덕왕 원년에 1명을 증원하였다. 대서성은 1명인데 진흥왕 때 안장법사를 이에 임명하였고, 진덕왕 원년에 1명을 증원하였다. 소년서성은 2명인데 원성왕 3년에 혜영과 범여 두 법사를 이에 임명하였다.
○州統, 九人; 郡統, 十八人.
주통은 9명, 군통은 10명을 두었다.
外官.
외관
○都督九人, <智證王>六年, 以<異斯夫>爲<悉直州>軍主, <文武王>元年, 改爲摠管, <元聖王>元年, 稱都督. 位自級瑗至伊瑗爲之. 仕{使}?臣[或云仕大等.]五人, <眞興王>二十五年始置, 位自級瑗至波珍瑗爲之. 州助[或云州輔.]九人, 位自奈麻至重阿瑗爲之. 郡大守{太守}?百十五人, 位自舍知至重阿瑗爲之. 長史[或云司馬.]九人,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仕大舍[或云少尹.]五人,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外司正百三十三人, <文武王>十三年置, 位未詳. 少守[或云制守.]八十五人, 位自幢至大奈麻爲之. 縣令二百一人, 位自先沮知至沙瑗爲之.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도독: 9명이다. 지증왕 6년에 이사부를 실직주 군주로 삼았고, 문무왕 원년에 총관으로 개칭하였다가 원성왕 원년에 도독이라고 하였다.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이찬까지이다. 사신[혹은 사대등이라 한다.] 5명을 진흥왕 25년에 처음으로 두었다.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파진찬까지이다. 주조[혹은 주보라 한다.]는 9명인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중아찬까지이다. 군태수는 115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중아찬까지이다. 장사[혹은 사마라 한다.]는 9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사대사[혹은 소윤이라 한다.]는 5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외사정은 133명인데 문무왕 13년에 두었고, 관등은 분명치 않다. 소수[혹은 제수라 한다.]는 85명인데 관등은 당으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현령은 201명인데 관등은 선저지로부터 사찬까지이다.
○浿江鎭典.
패강진전
○頭上大監一人, <宣德王>三年, 始置大谷城頭上, 位白{自}?級瑗至四重阿瑗爲之. 大監七人, 位與太守同. 頭上弟監一人,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弟監一人, 位自幢至奈麻爲之. 步監一人, 位與縣令同. 少監六人, 位自先沮知至大舍爲之.
趙炳舜. 『三國史節要』.
두상대감 1명을 두었다. 선덕왕 3년에 처음으로 대곡성두상을 두었고,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사중아찬까지이다. 대감 7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태수와 동일하다. 두상제감 1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제감 1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당으로부터 나마까지이다. 보감 1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현령과 동일하다. 소감 6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선저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外位, <文武王>十四年, 以六徒眞骨出居?{於}?五京九州, 別稱官名, 其位視京位. 嶽干視一吉瑗, 述干視沙瑗, 高干視級瑗, 貴于{貴干}?視大奈麻, 選干[一作撰干]視奈麻, 上干視大舍, 干視舍知. 一伐視吉次, 彼日視小烏, 阿尺視先沮知.
趙炳舜. 『三國史節要』.趙炳舜. 『三國史節要』.
외위: 문무왕 14년에 여섯 도(徒)의 진골로서 5경과 9주에 나가 있던 관직의 별칭이다. 관등은 서울에 있는 관등을 기준으로 하였는데, 악간은 일길찬에 준하고, 술간은 사찬에 준하고, 고간은 급찬에 준하고, 귀간은 대나마에 준하고, 선간[찬간이라고도 한다.]은 나마에 준하고, 상간은 대사에 준하고, 간은 사지에 준하고, 일벌은 길차에 준하고, 피일은 소오에 준하고, 아척은 선저지에 준한다.
○<高句麗>人位, <神文王>六年, 以<高句麗>人授京官, 量本國官品授之. 一吉瑗本主簿, 沙瑗本大相, 級瑗本位頭大兄·從大相, 奈麻本小相·狄相, 大舍本小兄, 舍知本諸兄, 吉次本先人, 烏知本自位.
고구려 사람들에게 주는 관등: 신문왕 6년에 고구려 사람들에게 경관(京官)을 주었는데, 고구려의 관품에 준하였다. 일길찬은 고구려의 주부, 사찬은 고구려의 대상, 급찬은 고구려의 위두대형과 종대상, 나마는 고구려의 소상과 적상, 대사는 고구려의 소형, 사지는 고구려의 제형, 길차는 고구려의 선인, 오지는 고구려의 조위에 준하도록 하였다.
○<百濟>人位, <文武王>十三年, 以<百濟>來人授內外官, 其位次視在本國官銜. 京官: 大奈麻本達率, 奈麻本恩率, 大舍本德率, 舍知本?率, 幢本奈率, 大烏本將德. 外官: 貴干本達率, 選干本恩率, 上干本德率, 干本?率, 一伐本奈率, 一尺本將德.
백제 사람들에게 주는 관등: 문무왕 13년에 백제에서 온 사람들에게 내외의 관직을 주었는데, 관등은 백제의 관직에 준하였다. 경관으로서 대나마는 백제의 달솔, 나마는 백제의 은솔, 대사는 백제의 덕솔, 사지는 백제의 한솔, 당은 백제의 나솔, 대오는 백제의 장덕에 준하였다. 외관으로서 귀간은 백제의 달솔, 선간은 백제의 은솔, 상간은 백제의 덕솔, 간은 백제의 한솔, 일벌은 백제의 나솔, 일척은 백제의 장덕에 준하였다.
○其官銜見於雜傳記, 而未詳其設官之始及位之高下者, 書之於後.
관직명이 여러 전기에 보이는데, 그 관직을 두었던 시기와 관등의 고하가 분명치 않은 것을 다음에 기록한다.
○葛文王·檢校尙書·左僕射·上柱國·知元鳳省事·興文監卿·大子{太子}?侍書學士·元鳳省待詔·記室郞·瑞書郞·孔子廟堂大舍錄事·參軍·右衛將軍·功德司·節度使·安撫諸軍事·州都令·佐·丞·上舍人·下舍人·中事省·南邊第一.
趙炳舜. 『顯宗實錄字本』.
갈문왕. 검교상서. 좌복야. 상주국. 지원봉성사. 흥문감경. 태자시서학사. 원봉성대조. 기실랑. 서서랑. 공자묘당대사록사. 참군. 우위장군. 공덕사. 절도사. 안무제군사. 주도령, 좌, 승. 상사인. 하사인. 중사성. 남변제일.
○<高句麗>·<百濟>職官, 年代久遠, 文墨晦昧. 是故不得詳悉, 今但以其著於古記及<中國>史書者, 爲之志.
고구려와 백제의 관직은 연대가 오래 되었으며, 기록이 모호하여 자세히 알 수 없다. 이제 다만 고기와 중국의 사서에 나타나 있는 것을 기록하여 지(志)를 만든다.
○『隋書』云:"<高句麗>官, 有太大兄·次大兄·次小兄·次對盧·次意侯奢·次烏拙·次太大使者·次大使者·次小使者·次褥奢·次?屬·次仙人, 凡十二木{等}?, 復有內評·外評·五部褥薩."
趙炳舜. 『顯宗實錄字本』.
[수서]에는 "고구려 관직에 태대형이 있고, 다음은 대형, 다음은 소형, 다음은 대로, 다음은 의후사, 다음은 오졸, 다음은 태다사자, 다음은 대사자, 다음은 소사자, 다음은 욕사, 다음은 예속, 다음은 선인 등 12등급이 있으며 또한 내평, 외평과 5부욕살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新唐書』云: "<高句麗>官凡十二級: 曰大對盧, 或曰吐□{?}?, 曰鬱折, 主圖簿者. 曰太大使者. 曰?衣頭大兄, 所謂?衣者, 仙人也, ?{秉}?國政, 三歲一易, 善職則否. 凡代日, 有不服則相攻, 王爲閉宮守, 勝者聽爲之. 曰大使者, 曰大兄, 曰上位使者, 曰諸兄, 曰小使者, 曰過節, 曰先人, 曰古鄒大加." 又云: "莫離支·大莫離支·中裏小兄·中裏大兄."
趙炳舜. 『新唐書』.趙炳舜. 『顯宗實錄字本』.
[신당서]에는 "고구려의 관직은 12등급이 있는데, 첫째는 대대로 혹은 돌졸이라 하며, 다음은 울절이니 도서와 문부를 주관한다. 다음은 태대사자라 한다. 다음은 조의두대형이니 이른바 조의란 곧 선인으로서 국정을 담당하는데, 3년에 한번씩 교체하되 직책을 잘 처리하면 교체하지 않는다. 대체로 교대하는 날 복종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로 공격을 하는데, 왕은 대궐문을 닫고 지키다가 승리하는 자에게 정권을 맡긴다. 다음은 대사자, 다음은 대형, 다음은 상위사자, 다음은 제형, 다음은 소사자, 다음은 과절, 다음은 선인, 다음은 고추대가들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밖에도 "막리지, 대막리지, 중리소형, 중리대형이라는 관직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冊府元龜』云: "<高句麗>, <後漢>時其國置官, 有相加·對盧·沛者·古鄒大加[古鄒大加, <高句麗>掌賓客之官, 如大鴻?也.]·主簿·優[一作于]台·使者·?衣·先人. 一說, 大官有大對盧, 次有太大兄·大兄·小兄·意俟奢·烏拙·太大使者·小使者·褥奢·?屬·仙人, 幷褥薩, 凡十三{二}?等. 復有內評外評, 分掌內外事焉." 右見<中國>歷代史.
趙炳舜. 『冊府元龜』.
[책부원구]에는 "고구려는 후한 시대에 관직을 설치하였는데, 상가, 대로, 패자, 고추대가[고추대가는 고구려의 빈객 접대를 맡는 관리로서 대홍려와 같은 것이다.], 주부, 우(優)[우(于)로도 쓴다.]태, 사자, 조의, 선인 등이 있으며, 일설에는 대관으로서 대대로가 있고, 다음에 태대형, 대형, 소형, 의사사, 오졸, 태대사자, 소사자, 욕사, 예속, 선인과 욕살을 합하여 12등급이 있으며, 또한 내평과 외평을 두어, 내외의 사무를 나누어 맡게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상은 중국의 역대 사서에서 참고한 것이다.
○左輔·右輔·大主簿·國相·九使者·中畏大夫. 右見本國古記.
좌보, 우보, 대주부, 국상, 구사자, 중외 대부.
이상은 본국 고기에 보인다.
○廣評省·匡治奈[今侍中]·徐事[今侍郞]·外書[今員外郞]·兵部·大龍部[謂倉部]·壽春部[今禮部]·奉賓部[今禮賓省]·義刑臺[今刑部]·納貨府[今大府寺]·調位府[今三司]·內奉省[今都省]·禁書省[今秘書省]·南廂壇[今將作監]·水壇[今水部]·元鳳省[今翰林院]·飛龍省[今太僕寺]·物藏省[今少府監]·史臺[掌習諸譯語]·植貨府[掌栽植菓樹]·障繕府[掌修理城隍]·珠淘省[掌造成器物]·正匡·元輔·大相·元尹·佐尹·正朝·甫尹·軍尹·中尹(+等品職)?. 右<弓裔>所制官號.
趙炳舜. 『三國史節要』.
광평성, 광치나[지금의 시중], 서사[지금의 시랑], 외서[지금의 원외랑], 병부, 대룡부[창부를 말함], 수춘부[지금의 예부], 봉빈부[지금의 예빈성], 의형대[지금의 형부], 납화부[지금의 대부사], 조위부[지금의 삼사], 내봉성[지금의 도성], 금서성[지금의 비서성], 남상단[지금의 장작감], 수단[지금의 수부], 원봉성[지금의 한림원], 비룡성[지금의 태복시], 물장성[지금의 소부감], 사대[모든 외국어 학습을 맡은 기관], 식화부[과수 재배를 맡은 기관], 장선부[성황의 수리를 맡은 기관], 주도성[기물의 제작을 맡은 기관], 정광, 원보, 대상, 원윤, 좌윤, 정조, 보윤, 군윤, 중윤. 이상은 궁예가 제정한 관직명이다.
○『北史』云: "<百濟>官有十六品: 佐平五人一品, 達率三十人二品, 恩率三品, 德率四品, ?率五品, 奈率六品, 將德七品, 施德八品, 固德九品, 季德十品, 對德十一品, 文督十二品, 武督十三品, 佐軍十四品, 振武十五品, 剋虞十六品. 自恩率以下, 官無常員, 各有部司, 分掌衆務. 內官有前內部·穀內部·內?部·外?部·馬部·刀部·功德部·藥部·木部·法部·後宮部, 外官有司軍部·司徒部·司空部·司寇部·點口部·(+客部)?·外舍部·綢部·日官部·市部, 長吏三年一交代. 都下有方, 各爲五部, 曰上部·前部·中部·下部·後部. 部有五巷, 士庶居焉. 部統兵五百人. 五方各有方鎭{領}?一人, 以達率爲之, 方佐貳之. 方有十郡, 郡有將三人, 以德率爲之, 統兵一千一百人以下七百人以上."
李丙燾. [北史].李丙燾. [北史].
[북사]에는 "백제의 관직에는 16품이 있었다. 좌평 5명은 1품, 달솔 30명은 2품, 은솔은 3품, 덕솔은 4품, 한솔은 5품, 나솔은 6품, 장덕은 7품, 시덕은 8품, 고덕은 9품, 계덕은 10품, 대덕은 11품, 문독은 12품, 무독은 13품, 좌군은 14품, 진무는 15품, 극우는 16품이다. 은솔 이하의 관직에는 정원이 없고, 각각 부서를 두어 여러 가지 사무를 분담하였다. 내직에는 전내부, 곡내부, 내경부, 외경부, 마부, 도부, 공덕부, 약부, 목부, 법부, 후궁부가 있으며, 외직에는 사군부, 사도부, 사공부, 사구부, 점구부, 외사부, 주부, 일관부, 시부가 있고, 책임관은 3년에 한번씩 교체하였다. 서울에는 방을 두고, 각각의 방을 5부로 나누었는데, 이를 상부, 전부, 중부, 하부, 후부라 하였다. 부에는 5개의 항을 두었는데 이곳에 평민들이 거주하였다. 부는 군사 500명을 통솔하며, 5방에 방진을 각각 1명씩 두었는데 달솔을 이에 임명하고, 방좌를 두어 그를 보좌케 하였다. 방에는 10개 군이 있고, 군에는 장수 3명을 두었는데, 덕솔을 이에 임명하여 군사 1100명 이하 700명 이상을 통솔하게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隋書』云: "<百濟>官有十六品, 長曰左平, 次大率, 次恩率, 次德率, 次?率, 次奈率, 次將德, 次施德, 次固德, 次季德, 次對德, 次文督, 次武督, 次佐軍, 次振武, 次剋虞. 五方各有方領二人, 方佐貳之. 方有十郡, 郡有將."
[수서]에는 "백제의 관직에는 16품이 있었는데, 우두머리를 좌평이라 하고, 다음은 대솔, 다음은 은솔, 다음은 덕솔, 다음은 한솔, 다음은 나솔, 다음은 장덕, 다음은 시덕, 다음은 고덕, 다음은 계덕, 다음은 대덕, 다음은 문독, 다음은 무독, 다음은 좌군, 다음은 진무, 다음은 극우라 하였다. 5방에 각각 방령 2명을 두고, 방좌를 두어 그들을 보좌케 하였다. 방에는 10개 군이 있고, 군에는 장수를 두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唐書』云: "<百濟>所置(-內)?官, 曰{有}?內臣佐平, 掌宣納事; 內頭佐平, 掌庫藏事; 內法佐平, 掌禮儀事; 衛士佐平, 掌宿衛兵事; 朝廷佐平, 掌刑獄事; 兵官佐平, 掌外兵馬事." 右見<中國>歷代史.
李丙燾. [唐書].李丙燾. [唐書].
[당서]에는 "백제에서 두었던 내직으로서 내신좌평은 명령의 출납을 맡고, 내두좌평은 창고의 저장 사무를 맡고, 내법좌평은 의례에 관한 사무를 맡고, 위사좌평은 수직 시위에 대한 군사 사무를 맡고, 조정좌평은 형벌과 옥사에 관한 일을 맡고, 병관좌평은 지방 군사에 관한 사무를 맡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상은 중국 역대 사서에서 참고한 것이다.
○左輔·右輔·左將·上佐平·北門頭. 右見本國古記.
三國史記卷第四十.
좌보, 우보, 좌장, 상좌평, 북문두.
이상은 본국 고기에 나오는 관명이다.
삼국사기 권 제 40 끝
출처:진갑곤의 한자박사
'부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사기 42권 열전 제 2 (0) | 2012.02.17 |
---|---|
삼국사기 41권 열전 제 1 (0) | 2012.02.17 |
삼국사기 39권 잡지 제 8 (0) | 2012.02.16 |
삼국사기 38권 잡지 제 7 (0) | 2012.02.16 |
삼국사기 37권 잡지 제 6 (0) | 201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