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유사

삼국유사 발문


 

삼국유사

발문

-------------------------------------------------------------------------------------

발문(跋文)

 

우리 동방 삼국(三國)의 본사(本史)나 유사(遺事) 두 책이 딴 곳에서는 간행된 것이 없고 오직 본부(本府)에만 있었다. 세월이 오래 되매 완결(완缺)되어 한 줄에 알아볼 수 있는 것이 겨우 4, 5 자밖에 되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건대, 선비가 이 세상에 나서 여러 역사책을 두루 보고 천하의 치란(治亂)과 흥망(興亡), 그리고 모든 이상한 사적에 대해서 오히려 그 견식을 넓히려 하는 것인데, 하물며 이 나라에 살면서 그 나라의 일을 알지 못해서야 되겠는가?

이에 이 책을 다시 간행하려 하여 완본(完本)을 널리 구하기를 몇 해가 되어도 이를 얻지 못했다. 그것은 일찍이 이 책이 세상에 드물게 유포되어 사람들이 쉽게 얻어 보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지금 이것을 고쳐 간행하지 않는다면 장차 실전(失傳)되어 동방의 지나간 역사를 후학(後學)들이 마침내 들어 알 수가 없게 될 것이니 실로 탄식할 일이다. 다행히 사문(斯文) 성주목사(星州牧使) 권공(權公) 주(輳)가, 내가 이 책을 구한다는 말을 듣고, 완본(完本)을 구해 얻어서 나에게 보냈다. 나는 이것을 기쁘게 받아 감사(監司) 안상국(安相國) 당(당)과 도사(都事) 박후전(朴候佺)에게 이 소식을 자세히 알렸더니 이들은 모두 좋다고 했다. 이에 이것을 여러 고을에 나누어 간행시켜서 본부(本府)에 갖다가 간직해 두게 했다.

아아! 물건이란 오래 되면 반드시 폐해지고 폐해지면 반드시 일어나게 마련이다. 이렇게 일어났다가 폐해지고 폐해졌다가는 다시 일어나게 되는 것이 바로 이치의 떳떳한 바이다. 이치의 떳떳함으로 일어날 때가 있는 것을 알고 그 전하는 것을 영구하게 해서 또한 후세의 배우는 자들에게 배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황명(皇明) 정덕(正德) 임신(任申) 계동(季冬)에 부윤(府尹)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 가선대부(嘉善大夫) 경주진병마절제사(慶州鎭兵馬節制使) 전평군(全平君) 이계복(李繼福)은 삼가 발문을 씀.

 

******** 삼국유사 첫 번째 판수의 끝입니다. ********

 

 

* 여기에 있는 삼국유사는 일연이 쓰고 이민수님이 옮기신 것으로 을유문화사에서 1994년에 출판한 [세계의 사상 1: 삼국유사] 중 왕력을 제외한 내용으로 직지프로젝트(http://www.jikji.org) 공식 문서이다 *

 

** 이 글의 이름은 skys01b.txt, skys01b.html, skys01b.hwp, 또는 skys01b.zip이다.**

 

*** 이 글은 강석구(stonenine@jikji.org), 김민수(minsukim@jikji.org), 그리고 김봉좌(likecho@jikji.org) 세 사람이 1999년 11월부터 시작하여 2000년 3월까지 입력작업과 교정작업을 해서 직지프로젝트에 7월에 올렸다. ***

 

**** 이 글에 틀린 글자가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이 글을 아스키 문서와 웹 문서로 바꾸면서 깨진 글자들이 있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영문자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슬기틀에서 우리 글이 깨지는 일은 이 글뿐만 아니라 앞으로 진행될 직지프로젝트의 우리 문학 전산화 작업에서 흔하게 발생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운동을 시작할 수 있기를 바란다. ****

 

***** 이 문서는 2000년 5월 현재 한자에서 현대문으로 번역하신 이민수 교수님이 가지고 계신 지적재산권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직지프로젝트는 이 문서를 계기로 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우리 문학의 전산화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양(量)이나 역사적, 문학적 가치로 보아 여러 사람들이 자유롭게 사용하게 하는 것이 진정한 '직지'의 정신을 실천하는 일이겠기에  이 문서를 직지프로젝트에 게시한다. *****

 

****** 입력본 중 다음 한자어를 바꿨습니다. (을유문화사 쪽 번호 기준)

        192쪽: 돌석([불 화火 부에 구멍 혈 穴,개 견 犬]石)이라고 한다.

                -----> 환석(煥石)이라고 한다.

금속활자장 오국진 선생님의 가르침을 박상웅(vv604@hanmail.net)님께서 전해주셨습니다.

        358쪽: 절의 중 간유상좌(인品遊上座)는

                -----> 절의 중 간유상좌(侃遊上座)는

강직할 간(侃)자의 옛 모양이라는 것을 한기영(myiou@hanmail.net)님과 박상웅(vv604@hanmail.net)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깊은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

 

******* 처음에는 '고전 전래 동화'를 전산화하려고 했는데 대부분의 출전이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라서 삼국유사의 전산화를 겁 없이 시작했습니다.  삼국유사를 전산화하면서는 다른 작품보다 느낌이 더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우리말과 글에 대한 사랑입니다.  옛사람들은 한자로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것이 당연했겠지만, 그 글을 오늘말로 바꾸는 일에서도 한자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보고는 크게 반성했습니다.  그 반성을 기본으로 이 글에서는 한자어를 우리말보다 작게 나타냈습니다.  그것이 저희가 할 수 있는 가장 조그마한 우리말 사랑입니다.

더 바람이 있다면 이 글이 밑거름이 되어 더욱 더 우리말다운 제 2, 제 3의 삼국유사가 나왔으면 합니다.  정보는 길을 잃지 않습니다.  낮은 곳에서 열려있는 정보일수록 그 가야할 방향을 잘 아는 법입니다.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직지프로젝트'의 뜻을 이해하시는 몇 분들의 도움으로 무사히 끝내서 너무 기쁩니다.   직지프로젝트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낮은 곳에서 열려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 직지 머리글 ===============================

 

직지프로젝트 소개

---------------

직지프로젝트는 세계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든 우리 조상들의 슬기를 되살려 우리글의 전산화, 정보화, 세계화를 위한 디딤돌이 되고자 하는 정보화운동이다.  한 달에 한 권 우리 문학을 전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전산화하는 대상은, 첫 번 째가 '우리 고전', 두 번 째가 '전래 동화 및 아동 문학'(어린이가 보는 글을 먼저 바른 말로), 그리고 세 번 째가 여러 사람들이 많이 읽어서 '우리 시대의 고전'으로 인정받은 글이다.

 

지적 저작권에 대해서

-------------------

지적재산권은 인류가 지닌 가장 근본적인 자산이며, 인간을 동물과 분류하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그 재산은 모든 인류가 공유해야 하며, 또한 우리의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자산이다.  '직지'는 지금부터 50년이 지나고, 100년이 지나 더 이상 오늘 찍은 책의 지적 재산권을 주장할 수 없고, 더 이상 그 책이 출판되지 않을 때에도 우리 자손들이 자신들의 생활의 일부가 되어 버린 인터넷에서 조상들의 아름다운 글들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다.  

'직지'는 인터넷과 통신을 통해 이 문서가 널리 퍼져 개인적으로 쓰는 것을 찬성한다.  그러나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그 사용자에게 법적 책임이 있음을 밝힌다.  인쇄한 글에 대한 지적 재산권은 글쓴이와 출판사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문서를 그 뿌리로 하여 만들어진 문서는 그 뿌리가 '직지'에 있음을 밝혀야 한다.  또한 이 글을 퍼뜨릴 때에는 '직지'에서 쓴 이 글을 포함하여야 한다.

 

도움을 줄 분을 찾습니다!

---------------------

'직지'는 비록 개인이 시작을 한 일이지만 결코 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닙니다.  글을 입력해서 직지에 올리는 일, 바른 우리 글을 살리는 일, 남한과 북한이 가지고 있는 언어의 이질성을 극복하는 일, 셈틀에서 제대로 된 한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일, 이 모든 일을 같이 할 분들을 찾습니다.  또한 직지는 쪽을 유지하고, 우리 글을 정보화/전산화하는데 필요한 돈을 모으고 있습니다.  직지쪽에 광고를 실어주시면 참 좋겠습니다.

 

 

직지 프로젝트 홈쪽들!

---------------------

정보대국의 디딤돌, 직지프로젝트: http://www.jikji.org

직지프로젝트 소식지: http://www.jikji.org/main/newsletter

직지프로젝트 전산화 게시판: http://www.jikji.org/main/project

직지프로젝트 잦은 문답: http://www.jikji.org/about/jikji_project/faq

========  직지 머리글 끝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유사 제 8권 전문  (0) 2012.02.26
삼국유사 제 7권 전문  (0) 2012.02.26
삼국유사 제 6권 전문  (0) 2012.02.26
삼국유사 제 5권 전문  (0) 2012.02.26
삼국유사 제 4권 전문  (0) 2012.02.26